일제강점기 文人 미공개 유품 2315점… 종로구, 3년뒤 문학관 개관 위해 확보 청사내 예술품 수장고 만들어 보관… 이태준-한설야 등 월북작가 자료도
소설가 최정희와 교분을 나눈 당대 최고의 문인들이 한자리에서 찍은 사진. 앞줄 왼쪽에서 두 번째부터 주요한, 황순원, 최정희, 곽종원(당시 건국대 총장), 박목월. 가운데 줄 왼쪽부터 박영준, 김동리. 뒷줄 왼쪽부터 김수명(기자), 안수길, 김규태, 조연현, 서정주, 박두진, 김현승, 차범석. 연대는 미상. 종로구 제공
광복 전후 여성 작가의 삶은 어땠을까. 시조시인 이영도(1916∼1976)와 소설가 최정희(1912∼1990)가 나눈 서신 여러 통에는 작가와 어머니 역할 사이의 고뇌, 가사노동의 부담까지 생생하게 드러난다. 일제강점기 여성 작가들과 춘원 이광수(1892∼1950), 김동리(1913∼1995) 등 근대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문인들의 육필 원고와 편지, 사진 등 미공개 유품 2315점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공개된 유품들은 현재 서울 종로구가 소장하고 있다. 종로구는 2018년 ‘종로문학관’ 개관을 앞두고 지난해 3월부터 일제강점기 종로지역에 기반을 둔 여러 작가의 유족들에게서 육필 원고, 편지 등의 자료를 확보했다. 특히 훼손 우려가 큰 유품의 보관을 위해 구청 3층에 2억3200만 원을 들여 수장고(86.4m²)를 만들었다. 365일 항온(섭씨 20도 이내), 항습(55% 안팎)이 유지된다. 기초자치단체가 청사 안에 수장고를 만든 건 이례적이다.
춘원 이광수가 생전에 갖고 다니다가 막내딸 이정화 박사에게 남긴 영문 신약성경(왼쪽 사진). 안쪽 표지에 이광수 이정화가 살던 곳으로 서울이 표시돼 있다. 와사등, 설야 등 한국 모더니즘 시(詩) 운동을 주도한 김광균 시인이 평소 아끼던 위스키 술병(오른쪽 사진). 애주가였던 김광균은 항상 이 술병에 위스키를 담아 마셨던 걸로 유명하다. 종로구 제공
자료의 대부분은 최정희의 둘째 딸인 작가 김채원 씨(69)가 소장하던 것이다. 삼천리 등에서 기자로 활동한 최정희는 1950년 6·25전쟁 중 피란을 가면서 “밥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며 편지와 사진, 신문 등 소소한 문건을 꼼꼼히 챙겼다. 최정희 유품 인수 작업에 참가한 서영은 작가(72·여)는 “시인 이상(1910∼1937)이 짝사랑할 정도로 문단에서 인기가 많던 최정희의 유품에는 과거 문인들의 작품세계, 고민이 모두 드러나서 연구 가치가 높다”며 “특히 상허 이태준(1904∼?), 한설야(1900∼1976) 등 월북 작가의 자료도 포함돼 있어 깊이 검토해야 할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이철호 기자 irontige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