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영 기자
백 편집인은 지난달 31일 페이스북에 “그것(논란이 된 신 씨의 소설 ‘전설’)이 일부러 베껴 쓰지 않고는 절대 나올 수 없는 결과라고 보는 문학관, 창작관에는 원론적으로 동의하기 어렵다”고 썼다. 앞서 지난달 27일에도 페이스북을 통해 “표절 혐의를 받을 만한 유사성을 지닌다는 점을 확인하면서도 이것이 의도적인 베껴 쓰기, 곧 작가의 파렴치한 범죄 행위로 단정하는 데는 동의할 수 없다는 창비의 논의 과정에 참여했고, 이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누리꾼들의 비판은 거셌다. ‘배운 분답게 어렵게 쓰지만 문제는 표절은 나쁘다는 것’, ‘자기반성이 없는 모습’이라는 댓글이 이어졌다. 김헌식 문화평론가는 “정의를 부르짖으면서 내부의 모순은 덮으려고 한다”고, 이시영 작가회의 이사장은 “지나치게 창비중심주의적 사고”라고 말했다.
반면 문학동네는 최근 강태형 대표와 1기 편집위원의 퇴진을 결정하면서 쇄신을 다짐했다. 1일 인쇄된 계간 문학동네 가을호 서문에서 권희철 편집위원은 “깊은 실망을 느꼈을 독자 여러분께 사과드린다”며 “‘전설’은 ‘우국’의 표절”이라고 명백하게 말했다. 창비와는 다른 모습이다.
문단 권력으로 지목된 두 출판사 창비와 문학동네가 표절 논란 이후 다른 대응을 보이는 것에 문단과 출판계도 주목하고 있다. 시인 A 씨는 “표절에 관한 법적 판단을 떠나 신 씨가 ‘우국’의 문장들을 표절했다는 데 다수가 공감하는데, 백 편집인이 그간 보여 줬던 진보 지식인의 모습이 아닌 뭉뚱그리는 화법으로 신 씨를 편들었다는 데 실망이 크다”고 말했다.
B출판사 대표는 창비와 문학동네의 상반된 행보가 모두 ‘상업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했다. 문학동네의 대응은 출판사가 시장 중심으로 성장한 행보이고, 창비의 반응 역시 자사에서 책을 낸 스타 작가를 보호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한 30대 소설가는 “더 이상 문학이 ‘우리만의 리그’가 되지 않아야 한다”며 “좀 더 흩어지고 해체되면서 새로운 문학성이 돋아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