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김지영 기자의 문학뜨락]찾아가는 문학이 똑똑한 독자와 만날때…

입력 | 2015-09-09 03:00:00


소설가 김탁환 씨가 달마다 지역 도서관을 순회하면서 강연해 온 지 아홉 달째다. 대부분의 강연은 도서관에서 작가를 초청하는 형식으로 이뤄지는데, 김 씨는 도서관 사서 모임에 먼저 연락해서 독자들과 만나고 싶다고 청했다.

최근 서울 성북문화재단 성북구립도서관 주관으로 아리랑시네센터에서 열린 작가와의 만남에는 비가 오는 날임에도 독자 100여 명이 참여했다. “대부분 독자들이 작가의 책을 읽고 온 것 같았다. 사전 질의서를 받았는데 과거 작품에 대한 의도나 주제의식을 구체적으로 묻는 것부터 시작해 최근작 ‘목격자들’의 사회적 의미까지 두루 궁금해했다.” 도서관 기획팀 윤정환 주임의 설명이다. 김탁환 씨는 “책과 이야기를 정말 좋아하는 이들을 직접 만나고 있다”면서 “내가 힘과 용기를 얻는 일”이라며 말을 아꼈다.

출판사들도 달라졌다. 도서관 이용자들이 책을 사 보지 않고 빌려 본다는 편견 때문에 도서관 행사에 출판사들은 소극적이었다. 그런데 “이제는 책을 대출하는 독자들이 그만큼 책을 많이 읽고 결국 신간을 구매하는 행위로 이어진다는 걸 파악하고 출판사들도 이 같은 행사를 지지하는 분위기”라고 한 출판사 대표가 전했다.

경기 파주시 교하도서관 최성숙 사서가 들려주는 독서모임 이야기도 흥미롭다. 파주도서관은 올 초 ‘고전 속 서양 읽기’라는 강좌를 기획해 진행했다. 이 강좌가 끝난 5월 후속 모임으로 독자들의 독서 동아리가 만들어졌다. 고전을 읽고 공부하고 토론하는 모임이었다. 삽시간에 15명이 모였다. 강연자 중 한 사람이었던 번역가 김영진 씨가 멘토를 자청했다. “회원들의 열기가 보통 아니다. 에밀 졸라의 소설 ‘제르미날’을 읽을 때 인물 관계도를 만들어 오는 건 기본이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드’를 읽을 땐 해설서까지 독파하고 왔다.”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을 공부하기로 하고 축약본을 교재로 정했다가 회원들은 “책 읽는 맛이 없다”면서 세 권짜리 완역본으로 바꿔 읽었다.

대중 강연의 연사로 활동하는 평론가 정여울 씨는 “다채로운 관점과 관심을 가진 대중을 만났다. 스스로의 절실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인문학을 공부하려는 대중이 많았다”고 말한다.(‘세계의문학’ 여름호에서) 그만큼 독자의 수준이 높아졌다는 얘기다.

이는 물론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지식의 수평적 전파의 영향이 크다. 누구나 궁금한 것을 자유롭게 묻고, 검색해서 답변하고, 그 답이 부정확하면 수정할 수 있다. 이전의 독자들은 ‘공부가 덜 된 사람’으로 여겨졌지만, 이제 독자들은 능동적으로 문화 콘텐츠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질문하기 시작했다.

최근 한국 문학의 잇단 표절 사태는 실은 과거에도 나왔던 얘기다. 개인의 성토나 뜬소문으로만 운위됐던 것이, 2015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독자들의 뜨거운 반응으로 논란의 불이 붙었다. “책은 더이상 독점적 지위를 누리지 않으며 이제 독자들은 책을 많은 문화 콘텐츠 가운데 하나로 받아들이는 게 현실”이라고 평론가 강유정 강남대 교수는 말한다. 오늘의 문학이 의식해야 하는 것은 이렇게 달라진 독자들이다.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