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정 노동개혁 잠정 합의]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노사정위원회 회의실에서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장, 김대환 노사정위원장,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왼쪽 의자에 앉은 사람부터)이 노사정위 협상을 재개하고 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이번 합의를 통해 개혁의 물꼬는 텄지만 파견근로 대상 업종 확대, 연공서열에 따른 급여체계 개편 등 민감한 이슈를 둘러싸고 크고 작은 마찰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벼랑 끝 전술’ 효과
하지만 기재부는 여론의 지지를 얻고, 원칙에서 후퇴하지 않으며, 여차하면 ‘플랜B’를 추진한다는 3단계 전략의 일환이었다고 설명한다. 기재부는 시한을 압박한 것과 관련해 “국민적 동의를 얻기 위한 과정”이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합의안 도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결과적으로 국민들이 개혁방향에 대해 대체로 우호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까지만 해도 청년고용과 노동개혁을 별개의 사안으로 다루다가 올 들어 ‘청년고용을 늘리려면 노동개혁이 필수적’이라고 연결한 전략이 주효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처럼 여론의 지지 기반을 확보한 가운데 정부는 첨예하게 대립됐던 일반해고, 취업규칙 변경요건의 합의 여부와 상관없이 5개 노동개혁 합의안을 원칙대로 강행할 계획이었다.
기재부는 당초 ①노사정이 대타협할 경우 ②타협 불발 이후에도 노사정 협의가 지속되는 경우 ③노사정 협의 자체가 결렬되는 경우로 나눠 대응방안을 준비했다. 이번에 노사정 대타협이 이뤄진 덕분에 향후 개혁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날 여야 반응은 엇갈렸다. 새누리당 이장우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합의문을 바탕으로 국회는 관련 법안 통과에 속도를 내고, 정부는 개혁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은 14일 고용노동부와의 당정협의에서 근로기준법,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법, 파견근로자보호법률, 고용보험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등 노동개혁 5법을 최종 정리한 뒤 16일 정책의원총회를 거쳐 당론으로 발의할 예정이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노조 조직률이 10%에 불과한 상황에서 대다수 노동자를 고용불안으로 내모는 해고요건 완화 시도는 대기업에 편향된 개혁”이라고 지적했다.
세종=홍수용 legman@donga.com / 홍정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