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이토록 눈부신 기술의 변화 앞에서 개별 기업 역량만으로는 혁신 속도를 따라잡기 어렵다. 소비자 요구는 높아지고, 이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기술은 갈수록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까닭이다.
이 때문에 개방형 혁신에서 돌파구를 찾으려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내부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물론이고 대기업들까지 가세하면서 개방형 혁신이 하나의 거대한 흐름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것이다. 일례로 소비재 기업인 P&G는 2000년 초 ‘혁신의 절반은 외부에서 가져온다’는 방향 전환을 통해 위기를 극복했다. P&G의 연계개발(C&D) 전략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옷감 손상 없는 세제 타이드 토털케어의 경우도 스웨덴 룬드대와의 공동연구 성과에 기반을 둔 것이다.
이런 변화는 출연연의 연구 성과와 산업계의 수요가 ‘따로 놀고 있다’라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출연연의 기술 실용화가 더딘 이유를 과제 기획단계에서부터 시장성을 고려하지 않은 현실에서 찾은 것이다. 처음부터 시장을 잘 알고 있는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을 개발하면 기술 실용화 비율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정부도 민간수탁 실적을 토대로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국내 실정에 맞는 민간수탁 활성화 지원 제도를 만들기로 했다. 민간수탁 실적이 좋으면 안정적 재원인 출연금을 늘려주고, 나쁘면 페널티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적용 대상은 우선 산업기술연구 중심기관인 전자통신연구원(ETRI), 생산기술연구원, 전기연구원, 화학연구원, 기계연구원, 재료연구원 등 6개 기관이다. 정부는 현재 14%에 머물고 있는 이들 기관의 민간수탁 비율을 2018년까지 21%로 끌어올릴 계획을 갖고 있다.
일부에서는 산업계 연구개발(R&D)과의 밀착을 강조하는 연구소 운영 방식이 시기상조라는 지적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연구기관의 체질 전환은 글로벌 시대 연구 생산성과 산업계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더욱이 국가 간, 기업 간 경쟁구도가 세계를 상대로 한 생태계 간 경쟁으로 변화하면서 융복합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결국 자신의 생태계에 다양한 협력자를 확보하는 것이 승패를 가르는 기준이 되는 만큼 연구개발 혁신의 두 핵심 주체인 출연연과 기업 간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산업계와 정부 연구원 협력의 모범으로 꼽히는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처럼 연구가 산업을 뒷받침해야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이제는 우리도 산연 협력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