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호균 한국광고주협회 상근부회장
현재 포털은 뉴스 유통량의 80%를 차지할 만큼 국민 의식과 여론에 막강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이 때문에 포털의 언론 폐해는 전체 언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확산시킬 우려가 크다. 광고시장을 교란한다는 점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네이버는 국감에서 언론으로서의 분류를 부인하는 자세를 밝히는 등 여전히 포털의 뉴스 유통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24일 발표된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규정 합의안’도 이와 비슷한 인상을 지울 수 없다.
10월 중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공식 출범해 세부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연말부터 평가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자칫 잘못하면 참여한 15개 단체가 네이버나 카카오의 비즈니스 모델을 옹호해 주는 방위군 역할을 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도 있다. 몇 개 단체가 준비위원회에 참여했느냐가 아니라 인터넷 뉴스 생태계를 혼탁하게 만들고 사이비 언론의 숙주 역할을 하는 포털의 본질적인 문제점을 얼마나 정확히 짚어내고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느냐에 따라 위원회의 성과를 평가할 것이다.
포털도 뉴스제휴평가위 뒤에 숨지 말고 인터넷 뉴스 생태계를 개선하기 위해 스스로 결자해지 차원에서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뉴스제휴평가위 구성에 대해 네이버나 카카오가 자신들의 문제를 기존 언론계의 책임으로 떠넘기려 한다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네이버 이해진 이사회 의장과 카카오 김범수 이사회 의장이 직접 나서 정부, 국회, 언론, 기업 등 각계와 함께 인터넷 언론 생태계의 정상화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결과는 실망스럽지만 앞으로 두 달 동안은 놀라운 성과를 보여주기를 기대한다. 뉴스제휴평가위가 평가만 하고 기사 어뷰징 문제나 검색 알고리즘의 공개 문제는 포털이 알아서 할 일이라는 식으로 일관한다면 결국 포털 권력의 조력자 역할을 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인터넷 뉴스 생태계가 혼탁해진 주요 원인이 포털의 뉴스 제휴 정책 실패와 뉴스 유통 언론으로서의 책임 회피에서 비롯되었음을 직시하고 이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지혜를 모아주기를 기대한다.
임호균 한국광고주협회 상근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