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산업’이 創農의 해법]<2>청년층이 말하는 성공 노하우
충북 음성의 농업법인인 ‘젊은 농부들’은 기존 농촌체험마을에 캠핑을 결합한 ‘팜핑’(농촌의 ‘farm’에 캠핑의 ‘ping’을 붙인 신조어)을 선보여 연간 2000명이 방문하는 명소로 만들었다. 사진은 체험마을 안의 캠핑장에서 청년들이 와인 파티를 벌이는 모습.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기존 농업에 새로운 아이디어가 더해져야 진정한 6차산업이 완성된다”며 “도시 지역에서 다양한 경험과 공부를 한 청년들이 농촌에서 창업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하지만 청년층의 농업 참여는 여전히 드물다. 창농(創農·창조농업 및 농촌창업) 및 귀농귀촌 가구가 지난해 4만4586가구를 넘어섰지만 이 중 30대 이하 청년층은 7743가구에 그쳤다. 이 같은 절박함에 농식품부는 최근 창농에 나서는 청년 중 300명을 선정해 최대 2년간 매달 80만 원을 지원하는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이미 창농에 나서 6차산업 사업자 인증까지 받은 청년 농업인들에게 농업 분야의 청년 성공 노하우를 들어 봤다.
경북 안동 부용농산의 한 직원이 수확한 우엉을 들고 서 있다. 청년 6명이 설립한 부용농산은 지난해 연매출 93억 원 규모로 성장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7년 동안 창농을 준비해 사업계획서를 썼다. 아버지를 설득해 농업인에 등록 후 농어업인 신용보증 대출을 받아 농촌 창업의 길에 다가섰다. 그렇게 선택한 작물은 블루베리. 이 대표는 “대학 시절 정보학을 전공해 사회 트렌드를 분석할 기회가 있었다”며 “참살이(웰빙)와 녹색에너지 등 사회 변화 흐름에 블루베리가 적합하다는 판단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2010년 다른 도시 출신 대학생들과 의기투합해 충북 음성에서 농업법인을 차리고 창농에 나섰다. 전체 매출은 지난해 1억7000만 원까지 늘었다.
더 중요한 것은 청년만의 아이디어를 농촌에 결합한 점이다. 젊은 농부들은 블루베리 잼과 비누 등을 만들어 판매한다. 음성군 유기농 블루베리연구회에 소속된 농가 30곳의 블루베리까지 대행 판매해 주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판매 방식을 청년들이 귀농해 만들어 준 셈이다.
이 대표는 “지금 운영하는 젊은 농부들 카페와 체험마을을 전국 체인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사업체를 찾아오는 젊은 학생들에게 나 스스로가 청년 농사꾼의 ‘롤 모델’이 되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나이 든 농촌에 활기 불어넣는 2세대
6차산업 사업체를 운영하는 청년 중 상당수가 농촌에 연고를 두고 있다. 가업인 농업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보태 농촌에서 창업을 하는 경우다. 이 경우 점점 평균연령이 높아지는 농촌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는 장점이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경북 안동에서 마를 재배하는 ‘부용농산’이다. 유화성 대표(32)를 포함한 6명의 조합원은 2004년 법인을 만들었다. 평균연령 35세인 이들은 고향인 안동이 100여 년 전부터 마 주산지로 유명하다는 점에 착안해 마를 본격적으로 재배하고 상품화하는 것을 목표로 영농조합을 만들었다. 농사만 짓던 단계를 벗어나 2009년 가공시설을 만들고 직접 마 분말과 즙, 차 등의 2차 가공제품을 만들었다. 지난해 연매출 93억 원, 정규직 고용 인원이 47명에 달한다. 유 대표는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고 바뀌는 환경에 쉽게 적응하는 것이 젊은 농부들의 경쟁력”이라며 “여기에 어르신들의 농업 경험을 더한 것이 6차산업 성공의 열쇠”라고 말했다.
여기에 ‘베짱이 학교’라는 체험시설을 만들었다. ‘재미있는 비무장지대(DMZ)’라는 슬로건처럼 이 시설은 실제 DMZ 안에 있다. 삼엄한 경비를 거쳐 들어간 DMZ 안에서 신선한 식재료를 활용한 요리실습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 대표는 “DMZ 안에서 식재료 채취와 요리를 할 수 있는 등의 체험 프로그램을 만든 것이 포인트”라며 “DMZ가 도시인이 쉬기에 최적인 청정지역이라는 점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이곳은 삼성전자와 아모레퍼시픽 등 대기업은 물론이고 여러 공공기관에서도 이색적인 체험 장소로 활용한 바 있다.
▼ 1, 2년간 주민들과 접촉해본 후 지역 선택… 지자체 농업센터 찾아 작물 추천받는게 좋아 ▼
창농귀농 Q&A
창농귀농(創農歸農)을 최종적으로 결심했다면 그 다음 결정해야 하는 것이 귀농지역 및 재배작물이다. 이 두 가지는 모두 특별한 ‘모범 답안’이 없다. 다른 사람이 많이 가는 지역이나 많이 재배하는 작물을 선택한다고 해서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는 건 아니다. 귀농귀촌종합센터의 조언을 토대로 귀농할 지역과 재배할 작물을 선택하는 법을 정리해 본다.
Q. 귀농할 때 어느 지역을 선택해야 하나.
A. 통상 농촌이 고향인 중장년층에게는 “고향으로 돌아가라”고 조언한다. 새로 작물 선정이나 토지 구입을 하는 데는 번거로운 점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새로 귀농할 경우에는 우선 1, 2년 동안 임대로 특정 지역에 살아 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다. 작물 재배에 유리해도 지역민과 마찰을 빚어 귀농을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겨울을 한 번 겪어 보는 것이 좋다. 이때 지역민과의 접촉도 늘릴 수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귀농 혜택이 최우선일 경우 귀농귀촌종합센터 홈페이지(www.returnfarm.com)나 대표번호(1899-9097)로 지자체별 혜택을 비교할 수 있다.
Q. 재배할 작물은 어떻게 결정하면 되나.
A. 어제까지 소득 1위였던 작물이 오늘은 꼴찌가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우선 농업기술을 보급하는 각 지자체 농업기술센터를 찾아 자신의 기술 수준과 농업 여건을 말하고 몇 가지 작물을 추천받는 것이 좋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매년 ‘농축산물 소득 자료집’을 발간해 작물 품목별로 소득을 발표하고 있다. 해당 자료에서 고소득 작물의 트렌드를 읽고 결정하는 것도 좋다. 참고로 2011∼2013년까지 3년 동안 분야별로 소득이 높은 작물은 고구마(식량작물), 인삼(약용작물), 착색단고추(과채), 당근(근채), 감귤(엽채) 등이다.
박재명 기자 jmp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