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교과서, 수능부담 줄어” vs “되레 문제 어렵게 낼것” 現 고2부터 절대평가 필수과목 전문가 “어차피 공통내용서 출제 국정화 상관없이 문제 쉬울 것”
단일 국정 교과서가 수능에 미치는 영향을 두고 여야는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 새누리당은 “교과서가 8권에서 한 권으로 줄어 수험생들의 학습 부담이 줄고 수능을 치르기 쉬워질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수능을 교과서 한 권에서 출제하면 지엽말단적인 것을 출제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에 대해 현장 교사와 입시 전문가들은 “둘 다 틀린 얘기”라고 지적했다. 교과서의 국정화 여부와 수능의 난이도는 별개라는 이야기다.
정부는 2017학년도 수능, 즉 현재 고교 2학년이 치르는 수능부터 한국사를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 모든 학생이 치르도록 했다. 교육부는 한국사를 필수로 하는 대신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을 덜어준다는 취지로 등급만 산출하는 절대평가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한국사를 필수화하면서 이미 기본적인 내용만 평이하게 출제하겠다고 예고한 만큼 국정화로 수능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기존의 수능 한국사 기출 문제를 봐도 여야의 주장은 지나치게 부풀려진 면이 있다. 2005학년도 이후 근현대사 부분을 다룬 수능 문항들은 6∼8종의 검정 교과서에 공통으로 실린 학계의 통설 위주로 출제됐다. 역사 관련 과목은 수능 출제 과정에서 편향성 시비가 일 가능성이 있거나, 학계에서 정리되지 않은 이론들은 배제하기 때문이다. 교과서에서는 이념 시비가 끊이지 않지만 수능 기출 문제에서는 편향성을 비롯한 오류 논란이 없었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현재 고2 학생들이 치른 수능 모의고사 성적을 기준으로 보면 적어도 3명 중 1명은 3등급 이상을 받을 것으로 보여 대부분 대학의 수시모집 최저학력기준이나 정시모집 만점 기준을 충족하게 된다”면서 “절대평가 체제의 수능 한국사는 실질적인 수험 부담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희균 기자 foryou@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