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구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참 나쁜 주인입니다. 재워 주지도 않더니 이젠 터무니없는 혐의까지 뒤집어씌우네요. 무턱대고 나그네를 의심해서 결박하고 관가에 고발하겠다고 하니 요즘 같으면 대번에 소송감입니다. 그런데 이상합니다. 윤회는 사실을 말하지 않고 순순히 묶이는군요. 저 거위도 함께 매어 놓으라는 알다가도 모를 말을 하면서.
아침이 되자 거위의 똥에서 진주가 나왔다. 이를 본 주인은 부끄러워 깊이 사과하면서 말했다. “어제 왜 말하지 않았소?” 윤회가 대답하였다. “어제 그것을 말했더라면 주인께서는 반드시 거위의 배를 갈라서 진주를 찾으셨을 것입니다. 그래서 치욕을 참고 기다린 것입니다(昨日言之 則主必剖鵝覓珠 故忍辱而待).”
부당한 모욕과 하룻밤 고초를 참아서 무고한 생명을 지킬 수 있다면 얼마든지 그것을 감수하겠다는 마음. 한 마리 거위마저도 소중히 여기는 주인공의 생명 사랑 정신에 절로 고개가 숙여집니다. 덫과 사냥총으로 멸종 위기의 짐승을 밀렵하고 심지어 그걸 자랑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한쪽에서는 그걸 막으려 애쓰는 감시단이 공존하는 세상. 나 아닌 다른 존재, 심지어 다른 사람의 생명까지도 하찮게 여기는 시대에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긍익(李肯翊) 선생이 지은 야사(野史)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조경구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