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상도동 가신’은 흩어졌지만… 巨山 품서 자란 YS맨 굳건

입력 | 2015-11-23 03:00:00

[김영삼 前대통령 서거]정치사 양대산맥 역사 속으로




김영삼(YS) 전 대통령 국가장례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황교안 국무총리가 22일 조문을 마치고 빈소를 나서고 있다(위쪽 사진). 이날 빈소에는 여야 인사들의 조문이 줄을 이었다. 위쪽에서 두 번째 사진부터 상도동계의 김수한 전 국회의장, 새누리당 서청원 최고위원, 새정치민주연합 손학규 전 상임고문. 사진공동취재단

김영삼(YS) 전 대통령이 22일 서거하면서 한국 현대사에 한 획을 그은 ‘상도동계’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YS와 수십 년을 동고동락한 ‘상도동계’는 이미 여러 정치적 선택지에서 각자의 길을 걷고 있다. 그럼에도 YS에 대한 애정은 한결같다. YS는 지인의 손목에 시계가 없으면 그 자리에서 자신의 시계를 벗어 채워 줄 정도로 친화력이 남달랐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YS는) 저항할 수 없는 친화력으로 좌중을 압도했다”고 회고했을 정도다.

○ 뿔뿔이 흩어진 ‘상도동계’ 1세대

YS의 최측근은 최형우 전 내무부 장관과 김동영 전 정무장관이다. 동국대 동문으로 ‘김영삼 대통령 만들기’에 평생을 바친 이들이다. 이들로부터 ‘상도동계’가 태동한 셈이다. 그러나 김 전 장관은 1991년 8월 ‘김영삼 대통령’ 탄생을 불과 1년 반가량 앞두고 암으로 타계했다. 당시 YS는 김 전 장관 빈소에서 “한창 일할 나이(55세)에 유명을 달리해 가슴이 아프다”며 손수건이 흠뻑 젖을 정도로 눈물을 쏟았다.

홀로 남은 최 전 장관은 명실상부한 상도동계의 맏형이었다. 그러나 그에게도 불운이 찾아왔다. 신한국당 대선 후보 경선을 앞둔 1997년 3월 11일 갑작스러운 뇌중풍(뇌졸중)으로 쓰러져 정계를 떠나야 했다. 최 전 장관은 22일 다른 이들의 부축을 받으며 YS 빈소를 찾아 여러 차례 통곡했다. 2005년 9월 최 전 장관의 고희연에 참석한 YS는 “최 전 장관이 건강했다면 참된 민주주의가 이뤄졌을 것”이라며 각별한 애정을 보이기도 했다.

YS 가신그룹의 또 다른 핵심은 서석재 전 총무처 장관이다. 그는 ‘조직의 귀재’로 불리며 YS의 각종 사조직을 이끌었다. 그러나 1997년 대선을 앞두고 이회창 당시 신한국당 대선 후보에 반대해 탈당한 뒤 이인제 후보(현 새누리당 최고위원)가 창당한 국민신당에 입당했다. 이후 국민신당과 국민회의가 통합돼 국민회의 부총재를 지낸 그는 2009년 12월 74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김수한, 박관용 전 국회의장과 김덕룡 전 한나라당 원내대표, 박종웅 전 의원, 이원종 전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 홍인길 전 대통령총무수석비서관 등도 대표적인 YS맨이다. 전북 익산 출신인 김 전 원내대표는 PK(부산·경남) 인사가 주축인 상도동계의 비주류였지만 ‘호남의 대표성’을 인정받아 상도동계의 핵심 실세로 떠올랐다. 그러나 2012년 대선에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를 지지하면서 여권과 거리가 멀어졌다.

YS맨을 언급할 때 김기수 비서실장도 빼놓을 수 없다. 그는 YS 임기 내내 수행실장을 맡았고 퇴임 이후에도 줄곧 YS의 곁을 지켰다. 청와대 입성 직후 경내 지리를 모르는 YS가 “기수야 어딨노?”라며 김 실장을 가장 먼저 찾았다는 얘기는 유명하다. YS의 빈소를 찾은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김 실장을 두고 “변함 없는 충신”이라고 했다.

○ 여전히 건재한 ‘YS맨’들

현재 여의도에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YS맨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다. 김 대표는 YS가 창당한 통일민주당 창당발기인을 거쳐 YS 재임 기간 대통령사정비서관과 내무부 차관을 지냈다. 김 대표는 YS 빈소에서 자신을 “김영삼 대통령의 정치적 아들”이라고 했다.

역설적이게도 김 대표의 정적으로 꼽히는 같은 당 서청원 최고위원도 대표적 YS맨이다. 서 최고위원은 YS가 야당 총재이던 시절 비서실장을 지냈고 김영삼 정부에서 정무장관을 맡았다. 그는 YS 빈소에서 “(YS는) 저의 정치적 대부”라고 했다.

김 대표나 서 최고위원은 모두 YS가 1984년 이끌던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창립 멤버로 참여하면서 상도동계와 인연을 맺었다. 정치적 뿌리가 같은 셈이다. 그러나 김 대표는 2010년 세종시 수정안 논란 속에 박근혜 대통령과 멀어지면서 비박(비박근혜)계의 좌장이 됐다. 반면 서 최고위원은 친박(친박근혜)계의 맏형 역할을 맡아 정치적 현안마다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YS 재임 내내 손명순 여사의 부속실장을 지낸 정병국 의원과 당시 청와대 비서관 출신인 이병석 의원과 이성헌 전 의원, 청와대 국장을 지낸 이진복 의원 등도 범상도동계로 분류된다. 현 정부 청와대 인사 가운데도 김동영 전 장관 보좌관을 지낸 신동철 정무비서관과 조인근 연설기록비서관, 정관주 국민소통비서관 등을 범상도동계로 볼 수 있다.

○ ‘영원한 라이벌’ 동교동계도 애도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는 이날 ‘애도성명’에서 “우리 국민은 YS를 대한민국을 변화시킨 대통령으로 기억할 것”이라며 “손명순 여사와 유가족에게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애도했다. 이 여사는 새정치연합 권노갑 상임고문 등 동교동계 인사들과 함께 23일 빈소를 찾아 조문할 예정이다.

YS와 함께 민추협을 결성한 새정치연합 김상현 상임고문은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YS와 특별한 관계여서 마음이 더 아프다”며 “YS와 DJ가 갈등의 시기도 있었지만, 모두 이 땅의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했다는 점은 같다”고 말했다.

이재명 egija@donga.com·한상준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