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뉴스룸/이승건]상이군인과 태극마크

입력 | 2015-11-23 03:00:00


이승건 스포츠부 차장

지난해 소치 패럴림픽에서 개최국 러시아는 금메달 72개 가운데 30개를 휩쓸며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여러 종목에서 군인 출신 선수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러시아는 복무를 하다 장애인이 된 군인들을 운동선수로 키워내는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다는 게 현지 관계자들의 얘기였다.

8월 4일 북한의 목함 지뢰 도발로 육군의 김정원 하사(23)가 오른쪽 다리를, 하재헌 하사(21)가 두 다리를 잃었다. 하 하사는 지난달 말 의족을 착용한 채 두 발로 걷는 동영상을 자신의 SNS에 올렸다. “약 3개월 만에 다시 걷는다!”는 글도 남겼다. 그 얼마 전 김 하사도 자신의 SNS에 이런 글을 남겼다. “빠밤! 섰다, 걷는다.” 의족에 기대 두 발로 서게 됐지만 이들의 재활은 이제 시작이다. 성인이 된 뒤 다리를 잃었기에 의족에 적응하는 데도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떨어져 나간 다리가 마치 있는 듯이 느껴져 찾아오는 극심한 환상통도 견뎌내야 할 것이다.

하 하사와 같은 나이였던 21세 때 교통사고로 장애인이 된 정진완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체육과 과장(49)은 “장애인이 됐다는 허망함에 한동안 술에 빠져 살았다. 삶을 끝낼 생각까지 했다. 하지만 우연히 그해 개관한 세브란스 재활병원을 찾으면서 인생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정 과장은 자신과 같은 처지의 장애인을 보면서 큰 위안을 얻었고 그들을 따라 운동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휠체어농구를 하다 1989년 사격에 입문했다. 정 과장은 1994년 베이징 장애인아시아경기 사격에서 은메달을 땄고, 2000년 시드니 패럴림픽에서 세계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들의 재활 과정 소식을 접하며 장면 하나를 상상해 봤다. 두 젊은이가 2018 평창 겨울패럴림픽에서 태극마크를 달고 설원을 누비는 모습을…. 장애인스키는 비장애인스키에 비해 체격 조건에 따른 불리함이 덜하다. 우수한 장비와 효율적인 훈련이 보조를 맞추면 비장애인스키에 비해 짧은 시간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한국은 겨울올림픽 스키 종목에서 메달을 하나도 따지 못했지만 패럴림픽에서는 2002년 솔트레이크(미국) 대회에서 한상민(36·국민체육진흥공단)이 알파인스키 좌식 부문에서 은메달을 땄다. 3년도 안 남은 평창 패럴림픽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2022년을 기대해 볼 수도 있다. 의족 장애인은 입식과 좌식 스키를 모두 할 수 있어 선택의 폭도 넓다.

문호는 활짝 열려 있다. 대한장애인체육회 전문체육부 박승재 부장은 “두 분의 의사를 물어봐야겠지만 신인 선수 발굴 프로그램 등을 통해 충분히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 스키가 아니라 휠체어 농구나 사격 등 여름 종목을 해도 좋다”고 말했다.

나라를 지키다 다리를 잃은 젊은이들이 불굴의 투지로 다시 조국을 위해 나선다면 이런 감동적인 드라마가 또 있을까. 물론 싫으면 그만이다. 그래도 종목을 불문하고 운동은 꼭 시작하기 바란다. 중도 장애인의 가장 효과적인 재활 수단은 운동이니까.

이승건 스포츠부 차장 wh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