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 김수석 포토그래퍼 윤동길
밥상머리 교육 특강이 경상북도의 교육 환경을 바꾸고 있다. 경상북도와 영남일보가 주최하고 임영주 부모교육연구소가 강연을 맡은 ‘할매·할배의 날 2015 밥상머리교육’ 행사는 지난 9월부터 시작하여 영주, 안동, 상주, 문경, 김천, 영천 등을 순회하며 뜨거운 반응을 이끌고 있다.
‘밥상머리’ 교육은 이미 교육의 중요한 화두 중 하나이며 관련 서적들도 많이 편찬되어 나와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밥상머리 교육을 실제 밥상에서 교육전문가가 세세하게 알려주는 경우는 보기 드물었다. ‘할매·할배의 날 2015 밥상머리교육’은 임영주 교수의 이론 강연 이후 자연스럽게 저녁식사로 이어지도록 구성됐다.
그리고 조부모 육아 비율이 높아지는 사회현실을 반영하여 아이와 부모, 조부모가 함께 참석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가정교육의 주체가 되는 3代의 유기적 협조와 이해를 높이고 실천성 높은 교육 효과를 이끄는 결과를 낳고 있다.
뷔페라는 환경은 음식을 떠오는 질서와 기다림, 먹을 만큼 떠와 음식을 남기지 않은 절제, 어른이 식탁에 돌아와 식사를 시작할 때까지 기다릴 줄 아는 예의, 어린 자녀의 식사를 챙겨주며 이야기를 나누는 어른의 교육태도 등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임 교수는 매 강연마다 테이블을 꼼꼼히 살피며 따듯한 조언과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경상북도의 밥상머리 강연회는 교육전문가들에게 ‘버릇없는 사회의 건강한 인성 되찾기’ 조기 예절교육으로 평가받고 있다.
노벨상 수상자의 30%를 배출한 유대인들은 매주 금요일 가족이 함께하는 식사시간을 통해 자연스럽게 대화하며 아이들에게 예절과 전통을 가르친다. 우리나라에서도 예로부터 “음식에 들어간 정성을 헤아리고 음식을 섭취할 인성적 자격을 갖추라”는 ‘식시오관(食時五觀)’ 식사 예법을 통해 자녀들의 밥상머리 교육을 중요시했다.
실천적 밥상머리 교육, 전국으로 확대되야
본 현장체험 교육에서는 올바른 수저 사용법, 대화법, 식사예절 등을 알려주고 칭찬하기, 경청하기, 대화의 주제 찾기 등 밥상머리 교육을 효율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소개했다.
이처럼 밥상머리 교육이 아이의 정서와 신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하지만 하루 한 끼조차 가족과 함께 식사하지 못하는 가정이 늘고 있는 것이 우리의 실상이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201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국민 7천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가족과 함께 아침식사를 하는 사람의 비율은 46.1%로 전체 응답자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또한, 저녁식사 역시 2005년에는 76.0%가 가족과 함께 식사했던 것에 비해 2013년에는 65.1%로 10.9%로 감소했다.
“퇴근 시간이나 학원 시간을 조정해서라도 일주일에 2번 이상은 온 가족이 함께 식사하는 게 반드시 필요해요. 그리고 밥상머리에서 지나치게 ‘교육’에 집중하여 자녀를 훈계하는 자리로 만들어서는 안 돼요. 식사시간에 TV나 스마트폰을 멀리하고, 아이의 말에 공감하며 상대가 듣고 싶어 하는 말을 하는 것 정도라면 훌륭한 교육이 됩니다. 밥상머리 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할까’라는 부담을 내려놓고 가족과 맛있게 식사를 하는 것만으로도 성공적이죠. 자녀 교육은 부모가 ‘교육’이라는 욕심을 내지 않을 때 더 잘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경상북도에서 이뤄지는 있는 이러한 밥상머리 교육이 서울 등 전국으로 확대돼 더 많은 부모와 아이들이 교육적 도움을 받았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기사제공 = 엠미디어(M MEDIA) 라메드 편집부(www.ramede.net), 취재 김수석 기자(kss@egihu.com)
* 본 기사의 내용은 동아닷컴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