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거품이 심상치 않다. 올해 1∼10월 전국에서 건축 인허가를 받은 주택은 60만4340채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2.3% 늘었다. 연간 주택 인허가 물량은 분당 일산 등 수도권 1기 신도시가 건설된 1990년 이후 25년 만에 처음으로 70만 채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인허가를 받은 주택은 보통 2, 3년 뒤 입주가 이뤄지므로 2017년 입주 물량은 2006년 이후 최대치인 32만 채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얼어붙었던 부동산시장이 바닥을 쳤다는 인식에다 경기 부양을 위한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 등 ‘초이노믹스’의 영향에 따른 부동산업계의 ‘짓고 보자’ 바람 때문이다.
입주 시기에 공급량이 과도하게 늘면 부동산 시세가 하락할 수 있다. 2017년 이후 ‘깡통 주택’이 속출할 것이라는 경고가 들린다. 대출금과 전세금을 빼면 남는 게 없어 오도 가도 못하는 하우스푸어가 생길 수 있다. 분양 계약만 해놓고 잔금을 내지 못해 입주를 못 하는 입주 대란(大亂) 우려도 나온다.
현장에선 이미 공급 과잉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올 들어 ‘분양 불패(不敗)’로 불리던 서울과 부산의 분양 열기가 예전 같지 않다.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면서 가뜩이나 ‘시한폭탄’으로 지목된 가계부채 잔액이 연내 1200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 다음 달 금리를 올리고 한국도 따라 올리면 대출이자 증가와 주택가격 하락이 겹쳐 충격은 일파만파로 커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