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쌀 대신 곤충… 농촌 경제교실… 생각을 바꾸니 통하네

입력 | 2015-11-26 03:00:00

[‘6차산업’이 創農의 해법]<5>‘창조경제박람회’ 선보일 성공사례




안상호 곤충농장 벅스팜 대표(왼쪽)가 부인 김경희 씨와 함께 기르고 있는 곤충의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안 씨는 “평소 곤충 표본에 관심을 가지다가 지금은 농장을 만들어 전문적으로 기르는 중”이라며 “찾아보기 힘든 농장이라 일부러 찾는 관람객도 많다”고 설명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정부는 26일부터 4일 동안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코엑스에서 ‘2015 창조경제 박람회’를 연다. 이 행사에서는 현 정부 들어 추진한 14개 부처와 2개 지자체의 창조경제 결과물을 관객들에게 선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에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결합한 ‘6차산업’과 관련해 8개 성공 사례를 박람회에 내놓는다. 곤충을 길러 어린이 학습장으로 활용하거나 블루베리 농장을 운영하면서 어린이 경제교실을 여는 등 국내 농촌에서 다양하게 펼쳐지는 6차산업 사례를 본행사 전에 미리 들여다봤다.

○ 식용부터 애완용까지 다양한 곤충의 세계

충남 공주의 자연사랑영농조합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체험학습이 열리고 있다. 자연사랑영농조합은 생산물인 블루베리를 활용한 체험교육은 물론이고 경제교실과 선비문화교실 등 일반 농촌 체험에서 경험하기 힘든 다양한 과정을 개설해 인기를 끌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이번 행사에서 가장 이색적인 6차산업 업체는 강원 원주시의 곤충 생산 및 체험장인 ‘곤충농장 벅스팜’이다. 이곳은 대표인 안상호 씨(50)가 1999년 귀농해 곤충 생산을 시작한 곳이다.

처음에는 식용 및 약용 곤충을 기르는 데서 시작했다. 하지만 곧 애완용 곤충 키트를 판매하고 어린이들을 위한 곤충 체험장을 만드는 것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기르는 대상이 ‘곤충’이라는 차이점이 있을 뿐, 본질적으로 쌀을 생산해 쌀과자를 만들고 주말 체험농장을 하는 것과 동일한 농촌 6차산업의 성과로 볼 수 있다.

곤충을 기르며 농촌에 정착할 생각은 어떻게 했을까. 안 씨는 “곤충 기르기를 생업으로 삼기 전부터 곤충 표본 만들기에 관심이 많았다”며 “일본에 들렀을 때 조그만 가게에서 곤충을 파는 것을 보고 한국에서도 가능하겠다 싶어 사업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처음에는 특이한 일이었지만 최근 곤충 기르기는 전 세계적인 트렌드가 됐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곤충을 ‘작은 가축’이라며 미래의 식량 문제를 해결해줄 열쇠로 지목했다. 농식품부 역시 최근 귀뚜라미를 식품 원료로 인정하고 곤충요리 경연대회를 여는 등 곤충의 미래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2011년 곤충체험학습장을 운영하면서 어린이들의 필수 방문 코스가 됐다. 올해 11월까지 이곳을 찾은 방문객은 1만2000명에 달한다. 안 씨는 홈페이지를 통해 곤충을 기르며 알게 된 다양한 지식을 공유하고 어린이들의 질문에도 답해 준다.

지난해 곤충농장 벅스팜의 매출은 2억2000만 원. 1년 새 30% 가까이 늘었다. 올해 6차사업 인증 사업자로도 지정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020년경 국내 곤충산업 시장은 1조 원에 달할 전망”이라며 “미래 전망이 밝은 특수한 분야에서 농촌 창업을 하는 것도 성공 요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 농촌에서 경제교실을…발상의 전환으로 성공

서울에서 공인재무분석사(CFA)로 일하던 금승원 씨(48·여)는 2010년 남편과 함께 충남 공주시로 귀농했다. 11개 농가로 구성된 ‘자연사랑영농조합’을 만들어 친환경농법으로 블루베리 등을 재배하기 시작했다.

귀농 후 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흔한 사연이지만 금 씨는 농촌에서 경제교실을 만들기 시작했다. 인근에 있는 용문서원이 방치돼 있자 이를 활용해 ‘용문서원 경제교실’과 ‘선비문화 체험교실’ 등을 만들었다.

경제교실에는 금 씨가 귀농 전 쌓은 경제지식이 활용됐다. 체험교실에서는 6차산업 사업체답게 블루베리를 활용한 잼 만들기 등의 과목도 있다. 블루베리로 잼을 만든 뒤 잼공장 사장이 되어 팔아 보라고 하는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면서 현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한 해 5000여 명의 학생이 이곳을 찾고 있다.

자연사랑영농조합은 이 밖에도 블루베리를 활용해 50여 가지의 가공제품을 만들고, 식초와 잼 양갱 등 5가지를 인터넷을 중심으로 판매하고 있다.

○ 친환경 석류부터 지역특산물까지 망라된 전시

이들 외에도 6차산업 전시관에는 다양한 업체의 제품이 선보인다. 전남 고흥의 ‘에덴식품’은 유자와 석류를 활용해 음료와 초코크런치 등 다양한 제품을 만들고 있다. 할랄 인증을 취득해 말레이시아와 스웨덴 등에도 수출한다.

‘DMZ 드림푸드’는 경기 파주의 특산물인 장단콩을 가지고 초콜릿을 만들었다. 통상 아몬드나 땅콩이 들어가는 초콜릿에 검은콩인 장단콩을 넣었지만 “아몬드 초콜릿에 비해 맛이 뒤지지 않는다”는 평가가 나온다. 파주에 있는 비무장지대(DMZ)와 연계한 관광상품도 운영하고 있다.

이 밖에 전북 완주군의 안덕파워영농조합은 주민 53명이 공동으로 6차산업 사업체를 꾸려 농산물 재배부터 장(醬)류 가공, 숙박시설과 찜질방 운영까지 함께한다. 경북 문경에서 ‘진남고추장’을 운영하는 김진경 씨(29·여)는 가업인 매운탕집을 물려받아 고추장 제조까지 발전시키며 대표적인 6차산업 사업자로 떠올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촌에서 창업한다고 하면 단순 식품공장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6차산업과 연계하면 다양한 사업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며 “남들이 하는 대로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아이템을 가지면 농촌에서의 성공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고 말했다.


▼ 창농귀농 Q&A 직업교육 받듯이… 정착후 교육도 꾸준히 받아야 도움 ▼

귀농귀촌센터 40개 교육과정 개설…첫 2∼3년 ‘無수익’ 대책 꼭 준비를

귀농할 땅과 주택까지 봐 뒀다면 본격적인 교육을 받아야 한다. 교육 없이 홀로 내려간다면 성공적인 귀농이 어렵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등은 귀농귀촌 희망자를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귀농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귀농 전에 받는 ‘사전교육’만큼이나 정착 후에 받는 ‘사후교육’도 중요하다는 점이다. 김덕만 귀농귀촌종합센터장은 “귀농은 새로운 직업 선택인 만큼 직업 교육을 받는다는 생각으로 꾸준히 교육에 나서야 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귀농 교육과 관련된 궁금증을 정리해 봤다.

Q. 귀농 교육프로그램은 어디서 볼 수 있나.

A. 귀농귀촌종합센터 홈페이지(www.returnfarm.com)에 1년 치 귀농학교 리스트가 정리돼 있다. 통상 연중 귀농프로그램은 2월에 확정되는 만큼 내년 귀농 준비에 나설 사람은 내년 2월경에 자신의 관심 분야에 맞는 교육과정을 선택해 수강하면 된다. 올해도 40개가 넘는 교육과정이 개설됐으며 수강료의 70∼80%를 국고로 지원한다.

Q. 자신에게 맞는 귀농교육을 어떻게 선택하나.

A. 귀농귀촌종합센터는 귀농 프로그램을 세 가지 형태로 분류했다. 우선 ‘귀농창업 탐색형’이다. 이는 도시민을 대상으로 단기 교육과정을 운영해 농촌 현장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박 3일이나 7박 8일 단기 합숙과 주말 교육이 이뤄진다. ‘귀농귀촌 실행형’은 귀농을 앞둔 사람들을 2, 3개월 합숙시켜 농업기술과 마케팅 등을 가르친다. ‘귀촌창업 탐색형’은 농업기술 외에 농촌 집짓기와 텃밭 가꾸기 등 귀촌에 필요한 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온라인 과정도 귀농귀촌종합센터에서 찾아 수강할 수 있다.

Q. 귀농 교육에 중점을 둬야 할 사항은….


A. 실제 귀농에 앞선 마지막 단계인 만큼 앞으로 어떻게 영농을 할 것인지 계획을 교육 기간에 미리 세워야 한다. 귀농 후 첫 2, 3년은 수익이 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에 마지막 교육 기간에 이 시기 대책도 준비해야 한다. 통상 수도권에서는 귀농 관련 소양, 지방에서는 영농실습 중심으로 교육이 이뤄진다. 염두에 둔 재배 작물이 있다면 교육과정에서부터 해당 작물이 생산되는 지역에서 실습을 받아야 한다.

박재명 기자 jmpark@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