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질 것임을 알면서 가는 길입니다.”
최근 만난 소설가 금희 씨(본명 김금희·36)는 자신의 글쓰기 작업을 이렇게 밝혔다. 중국 지린(吉林)성의 작은 조선족 마을에서 나고 자란 그다. 조선족 200만 명 중 그를 포함해 조선족 문단에 속한 작가는 어림잡아 100여 명 정도. ‘연변문학’ 등 서너 개 문예지를 통해 활동하고 책을 낸다. 문제는 조선족들 사이에서도 ‘조선어’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조선족들도 대부분 조선어가 아니라 중국어를 씁니다. 아홉 살 난 아들도 조선어를 들을 줄은 알지만 잘 하지는 못합니다. 자녀 세대가 성인이 되면 조선어는 거의 잊겠죠. 저는 조선족 작가로 조선어 소설을 쓰는 마지막 세대가 될 것 같습니다.”
“중국에서 교사로 일하다가 2000년대 초반에 돈을 벌고자 서울로 왔습니다. 식당일, 모텔 청소…, 닥치는 대로 했어요.” 조선어의 쇠락을 겪던 그는 뭘 해도 작가는 되지 말아야겠다고 마음먹었었던 터였다. 그런데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지치고 고단하니 글을 쓰게 되더라”고 했다. 라디오 프로그램에 사연을 써서 보냈는데 그 내용이 소개됐다. 작가가 돼야 하나 보다, 그렇게 생각하니 마음이 편해졌다. 중국으로 돌아갔고 문예지에 투고한 작품이 실리면서 소설가의 길을 걷게 됐다.
그의 소설에선 중국어와 조선어를 함께 쓰면서 고민하는 사람, 잘 살아보고자 집을 떠나 국경을 넘나들면서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사람 등이 등장한다. 조선족 작가로서의 고민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글쓰기를 통해 정체성 문제를 탐색하고 있다는 그는 “성장소설, 판타지 소설 등 다양한 소설 쓰기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언어의 틀을 넘어서 독자들의 마음에 닿을 수 있는 보편성을 작품에 담고 싶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