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감산(減産) 합의에 실패하면서 7일(현지 시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배럴당 37.65달러로 6년 10개월 만에 최저가로 곤두박질쳤다. 장기 불황으로 원자재 가격이 떨어진 데다 미국 셰일가스 혁명과 북미지역의 원유 생산량 증가로 ‘기름값이 물값 수준으로 떨어지는’ 초(超)저유가 시대가 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유가 급락의 여파로 어제 한국 코스피는 1,940 선으로 밀렸고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주요 증시도 하락세를 보였다.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한국에 저유가는 축복이었다. 1980년대 3저(저달러·저금리·저유가) 현상으로 ‘단군 이래 최대 호황’을 누렸듯이, 마이카 운전자부터 원유를 수입해 철강 반도체 선박 석유화학 제품을 만드는 중후장대(重厚長大) 산업까지 유가 하락은 반가운 소식으로 다가왔다. 이번엔 다르다. 중동 산유국들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한국의 철강 조선 기계 플랜트 석유화학 제품 수출이 타격을 받게 생겼다.
당장 중동 오일머니가 신흥국들에서 빠져나가 1997년 동남아 외환위기 때 같은 신흥국 위기가 올 수 있다는 소리도 나온다. 이미 국내 증시에선 사우디아라비아가 최근 3개월간 약 3조 원어치를 팔아 치웠다. 자동차 항공 정유 등은 일부 반사이익을 얻지만 저유가가 더 심각해지면 디플레와 함께 이런 산업들도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암울한 관측이다.
변화무쌍한 글로벌 시장의 상황을 살펴 한국 경제에 충격이 적도록 단단히 대비해야 할 때다. 불황에도 유연하게 경쟁력을 다지는 기업과 국가만이 호황을 맞을 수 있다. 산업 구조개편과 기업 구조조정을 늦춰선 안 될 이유가 하나 더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