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용 정치부 차장
1년 9개월이 지난 지금 이 대목의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린 것 같다.
안 의원은 지난해 새정치연합을 만든 지 석 달 만에 7·30 재·보궐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공동대표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안 의원은 사석에서 “내게도 장수가 필요하다”고 얘기했다고 한다. 자신을 엄호해 줄 동지의 필요성을 절감한 듯하다.
물론 친노 진영은 안 의원 지도부와 이후 박영선 비상대책위원장 체제가 조기에 허물어지는 데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는 게 중론이다. 6·4지방선거와 재·보선 공천 및 세월호특별법 협상 과정 등에서 친노 혹은 범친노 그룹이 보여준 ‘대표 흔들기’는 대단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올해 2·8전당대회에서 문 대표에게 승리를 안겨 준 뒤에는 별 볼 일이 없다. 4·29 재·보궐선거와 10·28 재·보궐선거 참패로 위기에 빠진 문 대표를 비노 진영이 심하다 싶을 만큼 흔들어대고 있지만 친노 그룹에서 ‘특무상사’ 하나 뛰쳐나와 “어디서 감히 문 대표한테!”라며 호통 치거나 울분을 토했다는 얘기는 듣지 못했다.
노영민 의원의 ‘카드 단말기 결제’ 사건을 보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장인 노 의원이 의원회관 사무실에 카드 단말기를 두고 산하 기관에 자기 시집을 팔았다. 노 의원은 지난 대선 때 비서실장을 맡은 이후 문 대표가 가까이 두고 다양한 현안을 논의했던 사람이다. 따라서 도덕성과 정당성을 추구해 온 문 대표에게는 큰 타격이었다. 하지만 노 의원은 버텼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총재였던 새천년민주당에서 당직을 맡았던 한 야권 인사는 “과거 같으면 당연히 노 의원이 탈당하거나 의원직 사퇴를 선언해 문 대표의 부담을 덜어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게 정당이고 동지라는 얘기다.
그렇게 보자면 친노야말로 이익공동체가 아닌가 싶다. 이들도 자신의 이익이 걸린 당내 경선에서는 어떻게든 승리방정식을 찾아낸다. 정작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본선에서는 패배하지만. 문 대표가 “친노는 없다”고 주장한 이유를 알 것도 같은 요즘이다.
민동용 정치부 차장 mind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