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데스크 진단]선제적 구조조정의 추억

입력 | 2015-12-14 03:00:00


김상수 산업부 차장

음산한 기운이 한국 기업들을 감싸고 있다. 한데 데자뷔처럼 언젠가 경험해 본 듯한 기운이다. ‘국제통화기금(IMF) 경제위기.’ 다시는 떠올리고 싶지 않은 ‘IMF’라는 용어가 최근 입에 오르내린다.

11일 한국은행과 IMF가 공동 주최한 콘퍼런스에서 IMF 경제 전문가들은 “한국 등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부채 위험이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수준에 근접했다”고 우려했다. 요즘 재계 인사들을 만나면 다들 “위기감이 느껴진다”고 한목소리를 낸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대기업들은 그로기 상태였다. 한보철강 삼미 진로 대농 한신공영 쌍방울 해태 기아 등이 끝내 버티지 못하고 무너졌다. 외환위기 이후 현재까지 재계 30위권에서 자리를 지키고 있는 곳은 삼성 SK LG 롯데 한진 한화 두산 금호아시아나 대림 동부 현대 효성 동국제강 등 13곳에 불과하다.

1997년 12월 3일 치욕스러운 IMF 자금 지원 양해각서 체결 이후, 2001년 8월 195억 달러를 갚으면서 IMF 관리체제를 졸업하기까지 기업들은 혹독한 구조조정을 해야 했다. 이들 가운데 구조조정 성공사례로 평가받는 곳은 한화 두산 효성그룹이다. 이 세 곳의 구조조정 과정을 유심히 살펴보면 공통점이 하나 있다. 바로 선제적 사업 구조조정이다.

두산은 외환위기 2년 전인 1995년부터 구조조정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이듬해 있을 100주년 사업을 구상하면서 초기에는 행사 중심으로 준비를 했다가 그룹의 위기를 감지했다. 두산은 그해 12월 소비재 위주의 사업구조를 수출 중심의 중공업으로 재편하겠다고 천명했다. 이후 음료 주류 식품 사업 등 소비재 브랜드를 차례로 정리했다.

위기에서 오히려 미래성장동력을 찾아 나선 두산은 2001년 한국중공업(현 두산중공업)을 시작으로 국내외 중공업 관련 회사들을 차례로 인수하며 이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게 됐다. 구조조정을 진두지휘한 인물은 외환위기 당시 기획조정실장에 이어 추후 전략기획본부장까지 맡은 박용만 현 두산그룹 회장이다.

한화는 외환위기가 본격화되기 이전인 1997년 중반부터 대대적인 그룹 구조조정 계획을 수립했다. 김승연 회장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 핵심 계열사 및 우량 자산을 매각해 부채비율을 1997년 말 1200%에서 2000년 말 130%대까지 낮췄다.

효성은 1995년부터 구조조정에 대한 고민을 했다. 그룹의 규모는 커진 반면 수익성과 경쟁력이 둔화되고 있던 시점이었다. 이듬해 1년간 컨설팅회사 매킨지를 통해 재무구조 개선과 경영 효율화 진단을 받고 ‘선택과 집중’ 전략에 나섰다.

조석래 회장은 1998년 효성물산 효성중공업 등 4개 계열사를 ㈜효성으로 합병시켜 6개 PG(사업부문) 체제의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글로벌 경영환경에 맞는 조직구조를 갖추고 스피디한 의사결정과 책임경영을 위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였다. 효성 바스프 등 알짜사업이라도 비주력 사업이면 과감히 버렸다. 1997년 43개였던 사업단위(계열사 포함)가 2000년 29개로 축소되는 구조조정 끝에 부채비율이 3년 만에 465%에서 174%로 줄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도 6%에서 10%로 좋아졌다.

효성은 구조조정으로 핵심 사업의 경쟁력을 키워나가 이제 스판덱스와 타이어코드 분야에서는 세계 1위의 자리를 굳게 지키고 있다. 올 3분기까지 영업이익 7545억 원을 거둬 사상 첫 연간 영업이익 1조 원 시대를 바라보고 있다.

올해 재계 화두는 사업 구조조정이다. 삼성은 한화에 이어 롯데와의 ‘빅딜’을 성사시켜 석유화학 계열사들을 정리했다. SK텔레콤은 유선방송사업자 1위 CJ헬로비전 인수작업을 진행 중이다. 주력사업인 중공업 실적 악화로 고전 중인 두산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경기 영향을 덜 타는 면세점 사업을 유치하며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외환위기 때는 정부가 칼을 빼들었지만 이번에는 기업들의 자율적인 구조조정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사업 구조조정에 삼성이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시장 흐름을 주도면밀하게 파악해 온 삼성은 늘 선제적인 대응을 하는 기업이기 때문이다. 외환위기 때도 그랬다.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저성장 국면에서 삼성은 이제 ‘잘할 수 있는 것만 우리가 하자’는 전략을 세웠다. 내년에는 재계에 사업 구조조정 태풍이 몰아칠 것 같다.

김상수 산업부 차장 ss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