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호남서 대선후보로 안철수 낙점땐 신당 파괴력 클듯”

입력 | 2015-12-15 03:00:00

[안철수 탈당 후폭풍]
정치-여론조사 전문가들의 전망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한 안철수 의원은 조만간 신당 창당에 나설 것이다. 문제는 새정치연합 의원들이 얼마나 합류하느냐다. 만약 새정치연합 김한길계와 박영선 의원 등이 합류하고 손학규 전 상임고문과 정운찬 전 국무총리 등이 힘을 보탠다면 상당한 파괴력을 발휘할 수 있다. 호남이 안 의원을 차기 대선주자로 선택한다면 기존의 새정치연합을 뛰어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동아일보가 14일 안철수 신당의 미래와 관련해 실시한 정치 및 여론조사 전문가 긴급 설문조사 결과다. 하지만 여기에는 무수한 가정(假定)과 전제가 따라붙는다. 그만큼 안 의원이 가려는 길이 ‘안갯속’이라는 말이다. 넘어야 할 파고도 높아 보인다. 정치권 입문 3년간 이렇다 할 돌파력과 비전을 보여주지 못한 안 의원의 운명은 결국 본인이 어떤 정치적 승부수를 던질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안철수 신당’에 대한 엇갈린 전망

안철수 신당의 명운은 ‘시간과의 싸움’이 될 가능성이 크다. 내년 4·13 총선까지 남은 기간은 4개월. 하지만 설 연휴(2월 7∼10일) 이전에 안철수 신당에 가담할 인사들의 면면을 공개하고 이른바 ‘새 정치’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는 얘기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설 이후 여론조사에서 신당 지지율이 20%를 넘는다면 합류 인사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이 급속도로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새누리당, 새정치연합, 안철수 신당의 ‘3각 구도’에서 새정치연합이 힘을 잃으면서 ‘양자 구도’로 재편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1985년 신한민주당(신한당)이 민주한국당(민한당)을 초토화시킨 일을 재연할 수 있다”고도 했다. 당시 김영삼, 김대중 두 야당 지도자가 만든 신한당은 창당 26일 만에 실시된 2·12 총선에서 제1야당으로 도약해 ‘민정당 2중대’로 불린 민한당을 와해시켰다. 무소속 천정배 의원도 전날 ‘국민회의(가칭) 창당 발기인대회’를 열어 신한당의 선거혁명을 상기시켰다.

문제는 역시 사람이다. 전문가들은 안 의원과 천 의원의 연대를 기정사실화했다. 그러나 지역적으로 호남연대로 비칠 수 있는 ‘안-천 연대’는 신당 도약의 충분조건이 되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김한길계, 박지원계를 넘어 손 전 고문과 정 전 총리 등 중도개혁 세력이 한배에 올라야 신당의 행보에도 탄력이 붙을 수 있다.

다만 손 전 고문의 안철수 신당 합류 전망은 그리 밝지 않아 보인다. 박명호 동국대 교수는 “안 의원이 유망주이긴 하나 3년간 이렇다 할 비전을 보여주지 못했다”며 “호남권 의원들만 합류한다면 오히려 창당 명분을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호남 지지를 끌어내는 것이 창당 초기 신당의 최대 과제라는 지적도 나온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 대표는 “호남이 안철수를 선택한다면 호남뿐 아니라 수도권의 야당 의원 상당수도 안철수와 연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 새누리당 어부지리? “안심 못해”

총선을 앞두고 새정치연합과 안철수 신당이 후보 단일화나 선거연대에 나설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조사센터장은 “후보 단일화에 나서면 안철수 신당의 주목도는 확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공천 나눠먹기로 비치는 순간 안 의원의 마지막 자산인 개혁 이미지도 나락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야권 분열로 새누리당이 이득을 볼지를 두고는 의견이 엇갈렸다. 수도권 박빙 싸움에서 야권 분열은 분명 새누리당에 호재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야권의 ‘혁신 경쟁’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안철수 신당과 새정치연합이 혁신 경쟁을 벌여 유권자의 이목을 끈다면 새누리당의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약화될 수밖에 없다. 자칫 1988년 13대 총선처럼 여러 야당이 등장하면서 여권이 고립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당시 총선 결과는 여소야대였다. 배종찬 본부장은 “야권 분열이 여권 분열의 촉매제 역할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egija@donga.com·홍정수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