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부터 수소차를 3000만 원대에 구입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국무회의를 통해 ‘수소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계획’을 수립·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에서 정부는 보조금과 수소차 가격 인하 등을 통해 현재 5000만 원대에서 구입할 수 있는 수소차를 2018년에는 3000만 원대 후반, 2020년에는 3000만 원대 초반 수준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수소차를 구매와 등록할 때 부과되는 세금도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차 수준으로 감경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민간보급 활성화를 위해 현재 수소차 출고 가격(8500만 원)을 2018년 6000만 원, 2020년 5000만 원 수준으로 인하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수소차 보급물량 목표는 2020년까지 9000대, 2030년까지 63만대이며, 연간 신차 판매 중 수소차 비율을 10%(수소차 18만대/신차판매 167만대/년)로 높일 계획이다.
또한 정부는 수소충전소를 2020년까지 80곳, 2030년까지 520곳이 설치키로 했다. 이를 위해 수소충전소 설치 시 보조금은 1곳당 15억 원이 지원되며, 장기적으로 융자방식으로 전환된다. 수소충전소 운영비와 수소차 보급초기에 설치한 충전소의 시설용량 증설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관련 핵심기술이 개발되고, 수소충전소 관련 제도가 정비된다.
2020년까지 수소차 연비를 10% 높이고(76.8→85km), 수소버스도 개발해 실증과정을 거쳐 2026년부터 보급될 전망이다. 또한 수소 측정센서, 저장용기 등 충전소 주요부품의 국산화율을 80%대로 높여(현행 40~60%) 충전소 설치비용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미국, 영국 등 주요 국가는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전망치 보다 훨씬 높은 수소차 보급 로드맵을 이미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다”라며 “우리나라도 주요 국가 수준으로 수소차 보급 로드맵을 마련하였다는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김훈기 동아닷컴 기자 hoon14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