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석남 시인의 새 산문집 ‘시의 정거장’은 여러 시인들의 시 작품에 대한 해설서다.
시 해설서라면, 우리가 지면에서 자주 만나는 형식을 떠올리기 쉽다. 시를 인용하고 거기에 대한 설명을 붙이는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은 다르다. 시가 빠져 있고 오로지 해설만 실렸다. ‘철썩이는 욕망을 접으면 호수의 노래를 들을 수 있으리라. 그것은 소리로 올까, 형상으로 올까. 안개는 물의 메아리다. 물은 밤새 몸을 바꾸어 노래처럼 이동한다.’ 이 글은 마종기 시인의 시 ‘메아리’에 대한 해설의 일부다. 시 ‘메아리’는 없고 시가 실린 시집 제목만 밝혔다.
이 독특한 형식엔 뒷얘기가 있다. 시를 인용하지 ‘않은’ 게 아니라 ‘못한’ 것이다. 저작권료 때문이다. 한 편의 시를 인용하기 위해선 시인에게 6만 원, 시집을 출간한 출판사에 3만 원, 모두 9만 원의 저작권료를 지급해야 한다. 시 50편을 인용하려면 450만 원, 전자책을 함께 낼 경우 비용이 2배로 들어 900만 원이 된다. 출판계에 따르면 저작권료를 들인 시 해설서가 수익을 거두려면 6000부 이상 팔려야 한다. 물론 시 해설서가 그 정도 팔리긴 쉽지 않다. 한때는 시집 베스트셀러 10위 중 7, 8권이 이런 시 해설서로 채워지기도 했지만, 요즘 시 해설서의 출간이 손에 꼽을 정도인 게 이런 이유에서다.
같은 문인이라도 시인들은 대개 소설가보다 순하고 셈도 밝지 않다는 게 정설이다. 저작권료가 정당하게 지급되는 게 시인들을 돕는 일이고 또 당연한 권리일 텐데, 이 때문에 좋은 시 해설서가 못 나올 수 있다니 아쉽기도 하다. 장석남 시인의 시 없는 시 해설을 읽다 보니 기자는 그 시가 어떤 건지 궁금해졌다. 출판사로선 고육지책이었을 이 형식이, 적어도 한 명의 독자에게는 마종기 시인의 시집을 들춰볼 생각이 들게 한 셈이다. 아마 적잖은 독자가 그럴 것 같다. 장석남 시인이 아름다운 산문으로 감상을 적은 시 ‘메아리’의 일부를 인용한다. 보도, 비평, 연구, 교육 목적의 저작물 인용은 재수록 비용을 내지 않는다.
‘(…)새벽 안개가 천천히 일어나/잠 깨라고 수면에서 흔들거린다./아, 안개가 일어나 춤을 춘다./사람 같은 형상으로 춤을 추면서/안개가 안개를 걷으며 웃는다./그래서 온 아침이 한꺼번에 일어난다./우리를 껴안는/눈부신 물의 메아리.’(마종기 시집 ‘새들의 꿈에서는 나무 냄새가 난다’에서)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