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와 여가수요 확대 등 새로운 수요를 반영한 반려동물산업 발전기반을 마련(하겠다).”, “(반려동물의) 분양?유통, 사료, 용품, 수의?보험, 장례 등 제도개선(을 하겠다).”
단 두 줄이지만, ‘반려동물산업’이 거론됐다. 그래도 이게 웬일인가. 그동안 미흡한 제도개선에 대한 아쉬움이 컷던 탓에 반가운 마음마저 든다. 살짝 호들갑스럽지만, 분명 눈여겨 볼 대목이다. 그러면 이 같은 내용은 누가, 어디에, 무슨 이유로 담아낸 것일까.
정부는 지난해 12월16일 대통령 주재 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하면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6년 경제정책방향’을 확정, 발표했다. 앞서 언급했듯 단 두 줄에 불과하다. 그래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만들어 낸 새해 경제정책방향 보고서에 ‘반려동물산업’이 언급된 것은 사실상 처음 있는 일이어서 눈길을 끌기에 충분하다. 물론 관계 부처별로 특정부문에 대한 제도개선 의지를 밝힌 적은 있지만 말이다.
이보다 앞서 기획재정부의 주관으로 반려동물산업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간담회도 열린 바 있다. 이 자리에는 정부 관련부처 및 산하기관의 정책담당자와 수의사회, 펫사료 및 용품업체 등 민간 영역의 관계자들이 모여 ‘반려동물산업 환경 점검 및 발전방안’을 주제로 장시간 의견을 주고받았다. 업계 참석자들은 의미 있는 자리였다고 평한다.
당국의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섣부른 판단도, 지나친 기대도 금물이다. 다만 당국이 이전보다 훨씬 적극적이고, 발전적 방향으로 노력하고 있다는 점은 반길 일이다. 특정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제도의 개선과 정책적 관심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제도의 개선은 산업적 관점에선 게임의 규칙을 새롭게 만드는 일이다. 규칙은 공정성을 담보하고, 공정성은 산업에 대한 신뢰를 높여 준다.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참여자들이 늘면서 시장도 활기를 띄게 되는 것이다. 결국 관련 산업의 소비자에게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반려동물산업이 뜨고 있다‘. 이 말에 토를 다는 사람은 없다. 누구나 인정하는 얘기로 어제, 오늘의 일도 아니다. 하지만 제도와 시스템이 현실을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또 미래의 나침반 역할을 할 제대로 된 통계조차 없는 게 현실이다. 정부가 늦었지만 이제라도 제도개선에 관심을 기울인다는 것은 다행이요, 환영할 만한 일이다.
* 본 기사의 내용은 동아닷컴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