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대 중반까지 킬체인 구축”… 핵심장비 도입 예산 3%밖에 확보 못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더욱 현실화되는 가운데 우리 군의 대응은 2020년대 중반까지 독자적인 미사일방어 체계를 갖추는 것이다.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체계 및 킬체인 구축은 우리 군이 주한미군으로부터 전시작전통제권을 넘겨받는 조건 중 하나이기도 하기 때문에 군 당국의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킬체인에서 정보위성 등 적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탐지 자산은 ‘눈’에 해당되는 핵심 자산이다. 하지만 올해 국방예산에서 대북 정찰위성 도입 사업의 예산은 당초 군이 요구한 643억 원의 3.1%에 불과한 20억 원만 통과됐다. 우리 군은 2022년까지 정찰위성 5기를 도입할 계획이다. 예산이 대폭 삭감되면서 대북 감시능력 확보 계획에도 이미 차질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KAMD 및 킬체인이 2020년대 중반까지 구축되지 않는다면 한미 양국이 2014년 합의한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은 2020년대 중반 이후로 또다시 연기될 가능성이 높다. 지금도 군 안팎에서 수십조 원 예산이 들어가는 이 사업이 기약 없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전시작전통제권은 우리 군이 반드시 넘겨받아야 할 과제다. 확고한 한미동맹의 연합 전력과 별개로 우리 군은 6·25전쟁부터 한 번도 자국의 전시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져본 적이 없다. 미국 내 일각에서는 한국이 과연 전작권을 가져갈 의지가 있는지 의구심을 제기하기도 한다. 한 미국 정부 소식통은 “한국군 내부에 있는 ‘한반도에서 전쟁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안일한 시각이 전작권 전환의 더 큰 걸림돌일 수 있다”며 “군의 최종적인 완성은 전작권을 갖는 것인 만큼 첨단무기 확보보다 심리적인 동기 부여가 한국군 안에서 결집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성택 기자 neon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