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경제불안-수출 부진 영향… 6개월만에 3.4%서 0.8%P 내려
韓銀도 기존 3.2%서 낮출 가능성

10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골드만삭스, 씨티그룹, 도이체방크 등 글로벌 IB 6곳이 최근 발표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2.6%로 집계됐다. 지난해 6월 내놓은 평균 전망치(3.4%)보다 0.8%포인트나 하향 조정된 것이다.
이 가운데 모건스탠리는 지난해 6월 3.7%에서 2.2%로 가장 큰 폭으로 내렸다. 씨티그룹도 종전 3.3%에서 2.4%로 낮춰 잡았다. IB들은 “중국의 경기둔화 등 신흥국 경제 불안으로 한국의 수출 부진이 계속되고 있으며 인구 고령화, 투자 부진 등은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제약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중국의 경제 불안, 국제유가 급락세 등으로 수출 전선에 경고음이 높아지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지난해 12월 금통위를 마친 뒤 “10월 전망치 발표 이후 경기의 하방 리스크가 생겼다”며 성장률 하향 조정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다만 한은이 잠재성장률 수준인 3.0% 밑으로 성장률을 낮추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전망치를 2%대로 순식간에 낮출 경우 가계·기업 등 경제 주체의 불안감을 과도하게 키울 수 있어서다. 일단 한은이 3.0% 정도로 성장률을 제시한 뒤 대내외 경제 여건을 좀 더 지켜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앞서 정부(기획재정부)는 올해 성장률을 3.1%로 제시했고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3.0%로 발표했다. 반면 민간 경제연구소들은 대체로 올해 성장률을 2%대 중후반대로 전망하고 있다.
정임수 기자 ims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