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특혜 노린 꼼수’ 지적에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남북 긴장이 고조되자 국군 장병 1000여 명이 전역 연기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방부는 “장병들의 순수한 진성성을 폄하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14일 정례브리핑에서 장병들의 전역 연기를 놓고 ‘취업 스펙을 위한 것’이라고 깎아내리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앞으로 상황 변화에 따라서 추가 병역 운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3개월 이내의 전역 연기 신청을 수용할 수 있다”며 “그렇다고 해도 입영 대기자들이 많은 상황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앞서 13일 기준 전역 연기를 신청한 장병이 육군이 900여 명, 해병대도 150여 명으로 1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8월 북한의 지뢰 도발 당시 전역 연기 신청자 100여명 보다 10배가 늘어난 수치다. 전역 연기를 신청하면 최대 3개월까지 복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전역 연기 장병이 대폭 늘었다는 소식에 인터넷에서는 ‘취업 특혜를 노린 꼼수’라는 의견이 다수 올라오기도 했다. 지난해 8월 SK와 롯데 등 일부 대기업이 전역 연기 장병들을 우선 채용한 바 있다.
최현정 동아닷컴 기자 phoeb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