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새 성장판 열어라 /2016 연중기획] [ICT 융합이 미래다]<上>4차 산업혁명 이끌 인공지능
캡슐커피머신을 파는 매장에 들어서자 흰색 로봇인 ‘페퍼’가 고개를 돌려 눈을 맞추고는 팔을 벌리며 “멋진 선물을 주는 게임을 같이하지 않을래요”라고 물었다. 가슴에 달린 터치패드를 눌러 승낙하자 고개를 끄덕이며 반가움도 표시했다.
터치패드에 나온 퀴즈에서 정답을 고르니 두 팔을 휘저으며 “멋지다”고 감탄한 페퍼는 다양한 커피머신을 소개했다. “저는 로봇이라서 커피를 못 마시는 게 답답하다”며 ‘투정’ 부리는 모습은 마치 공상과학영화에 나오던 로봇처럼 자연스러웠다. 페퍼는 IBM의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인 ‘왓슨’을 탑재해 인간의 감정을 학습하고 자신의 감정도 표현할 수 있다.
융합기술의 결정체인 AI 기술이 인간의 삶 속으로 성큼 다가서고 있다. 페퍼와 같이 로봇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일상적으로 쓰는 구글의 G메일 등까지 적용되면서 관련 시장이 연간 20%씩 성장하고 있다. 과거 꿈으로만 여겨졌던 일들이 최근 사물인터넷(IoT)과 클라우드서비스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가 융합하면서 현실화하고 있다.
○ 일상으로 들어온 AI 기술
현재 AI 분야에서 가장 앞선 기술을 갖춘 기업은 미국 IBM이다. IBM의 왓슨은 이미 2014년 1월 상용화돼 36개국에서 의료 금융 스포츠 분야 등 100여 개 기업이 사용하고 있다.
일상에서 AI 기술이 적용된 사례는 구글의 G메일이다. 구글은 AI 기술을 적용해 스팸메일의 99.5%를 걸러낸다. 스팸메일을 걸러내는 기존의 방식이 특정 단어나 기호가 있는 메일을 막는 ‘규칙형’이라면 현재는 사용자들이 스팸으로 처리한 메일의 형태를 분석해 스스로 학습해 진화하는 AI의 한 종류인 ‘딥 러닝’ 방식을 활용한다. 이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데이터가 축적돼 스팸메일을 걸러내는 정확도는 높아진다. 중국의 인터넷 기업인 바이두의 자율주행차 팀도 지난해 AI 기술을 이용해 베이징(北京) 도로에서 총 30km를 운전자 없이 주행했다.
○ ‘패스트 팔로’ 전략 어려워져
AI는 지난 수년간 IoT와 클라우드(Cloud) 기술, 빅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 분야를 통칭하는 이른바 ‘ICBM’ 기술이 성숙 단계에 접어들면서 현실화가 가능해졌다.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 분석하는 기술이 급속히 발전해 서로 융합되면서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과 추론까지 할 수 있게 됐다.
AI 분야의 특징은 축적된 데이터에 따라 기술과 서비스 수준이 크게 좌우돼 선발자를 따라잡는 게 쉽지 않다는 것이다. 데이터가 쌓일수록 AI는 더욱 영리해지고, 이미지나 음성 인식률은 높아진다. 서비스가 좋아져 이용자가 늘면 데이터가 더욱 축적돼 다른 회사와의 기술 격차가 커진다. 먼저 진출한 글로벌 IT 대기업들의 ‘승자 독식’ 현상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큰 것이다. 한국 기업이 과거 ‘패스트 팔로(빠른 추격자)’ 전략으로 스마트폰이나 자동차 분야에서 성공을 거뒀을 때와는 산업 구조가 달라진 셈이다.
차원용 아스팩미래기술경영연구소장은 “구글의 자율주행차가 지난해까지 280만 km를 주행한 것은 도로 상황 데이터를 축적해 자율주행차의 AI를 학습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대규모 데이터를 확보할 수 없는 한국 기업들은 불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현대차의 도로 실제 주행거리는 5km에 불과하다.
미국이 AI 분야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장기적인 투자 덕분이었다. 미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2008년부터 AI 칩 개발에 나섰다. 뇌과학 분야를 선점하겠다는 ‘브레인 이니셔티브’를 내세운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매년 AI 분야의 예산을 늘리고 있다. 유럽연합(EU)과 일본, 중국도 AI 분야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국내 벤처기업들은 한국 정부도 AI 분야에서 장기적인 투자 기반을 조성하는 정책을 내놔야 한다고 조언한다. AI 기술로 의료데이터를 분석하는 ‘뷰노’의 김현준 이사는 “투자를 받으면 당장 성과와 이익을 내라고 압박하는 한국 분위기에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한 AI의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AI 기술의 발전으로 일자리가 사라지고, 판단하기 어려운 가치와 관련해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상진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AI 기술이 해킹 범죄나 사이버 전쟁에 활용될 가능성도 있어 이에 대한 고민과 대비책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세진 mint4a@donga.com·곽도영 기자/ 도쿄=장원재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