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박제균의 휴먼정치]洋人 경호원에게 기댔던 고종

입력 | 2016-01-29 03:00:00


박제균 논설위원

1895년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자 신변에 불안을 느낀 고종은 양인(洋人)들을 경호원으로 채용한다. 미국인 다이 소장과 닌스테드 대령, 러시아 건축기사 사바틴 등이었다. 명성황후가 시해된 을미사변 당일(1895년 10월 8일) 야간당직이던 다이 장군은 조선인 경비대를 지휘해 경복궁 입구를 지키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 군경·낭인 등과 맞닥뜨리자 제대로 교전도 못하고 도망쳤다.


美 육군소장 도망쳐

동아일보 기자 출신으로 이 시기를 연구해 몇 권의 저서를 낸 이종각 동양대 교수는 ‘미야모토 소위, 명성황후를 찌르다’에서 그날 함께 야간당직을 섰던 사바틴의 증언을 인용하고 있다. “첫 번째 일제사격에서 왕실 군인들은 모두 총을 한 발도 쏘지 않고 그냥 버리기 시작했다. 그들은 제복을 벗어던지고, 탄환을 버리고 달아났다.”

서양 경호원에게 의지하려 했던 고종은 10년 뒤엔 겁박과 회유로 을사늑약을 체결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에게 초대 한국통감으로 오라고 청하기까지 했다. 고종은 늑약을 체결하고 귀국하는 이토에게 “경의 머리와 수염을 보니 반백인데, 흰 것은 일본 황제를 보필하다 생긴 것이겠지만, 나머지 검은 것이 희게 될 때까지 짐을 위해 일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고종은 이토가 안중근 의사에게 처단됐을 때도 ‘이토는 우리나라의 자비로운 아버지(慈父)와 같다. 위해를 가한 흉한(兇漢)이 한국인이라고 하는 것이 부끄러울 뿐’이라고 말했다고 ‘통감부 문서’는 기록한다. 일본 측 문서이니 사실이 아니길 바랄 뿐이다.

100여 년 전 굴욕과 통한의 역사를 다시 들추는 건 불편하다. 하지만 한국 외교가 처한 작금의 상황이 당시를 떠올리게 했다. 세계를 놀라게 한 6일 4차 핵실험 후 한 달도 안 돼 장거리 미사일까지 쏘려는 김정은 정권, 그럼에도 미국의 대북 제재 요구를 거절한 중국, 그런 중국에 매달렸던 박근혜 정권, 한국과는 위안부 문제 등으로 각을 세우는 사이 중국과 경제협의체를 구성한 일본, 한국 정부가 어렵게 입을 뗀 ‘5자회담’을 거부한 러시아까지…. 한국 외교에 ‘퍼펙트 스톰’이 몰려오는 느낌이다.

고종의 경호원이었던 미국 군인들도 명성황후를 지켜주지 못했다. 북핵보다는 이란 핵문제 해결에 올인(다걸기)했던 미국은 이제 11월 대선에 제 코가 석 자다. 한미동맹이라고는 개념조차 없는 트럼프가 당선된다면, 아니 공화당 후보라도 된다면…. “그럴 리 없다” 손사래를 치는 외교부 관계자들이 최악의 시나리오에는 대비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한국보다 훨씬 험악한 외교 지형에 둘러싸인 이스라엘은 단합된 국론 아래 신속 단호한 행동으로 주변국이 두려워하고, 강대국도 어쩌지 못한다. 북이 핵실험을 하자 ‘이 지경이 되도록 정부가 뭐했느냐’고 비판하다가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도입을 검토하겠다니 ‘사드가 한중관계보다 중요하냐’고 어깃장을 놓는 분열상이 북의 핵과 미사일보다 훨씬 위험하다.


국론분열 북핵보다 위험해


역대 최고 외교장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공로명 전 장관의 얘기. “한국 외교가 위기라지만, 그렇지 않다. 우리가 설 땅을 지키면 된다. 중국 최고지도자들과 교유했던 리콴유 전 싱가포르 총리는 회고록에서 중국은 결코 ‘북한 카드’를 포기하지 않을 거라고 썼다. 북한이 무너지면 미국이 코앞까지 다가온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런 중국에 조금이라도 지렛대를 가지려면 국방비도 늘리고, 사드 배치도 진작 했어야 한다. 수천 년간 외교를 해온 중국을 상대하려면….”

박제균 논설위원 ph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