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미사일 발사 예고] 北 통보로 분석한 미사일 실체
○ 김정일 생일(16일) 전후 발사 유력
북한이 IMO에 발사 기간으로 제시한 시기는 8∼25일. 이 기간의 주요 일정으로는 한국의 설 연휴(6∼10일)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16일·광명성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미정)이 예정돼 있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움직임 등 정치적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 내부에서 정한 일정에 따라 발사 순서를 밟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군 당국자는 “북한이 미사일 추진체를 조립해 발사대에 세운 뒤 기상 여건과 발사 각도 등 성공 확률이 가장 높은 최적 시점을 골라 ‘발사 단추’를 누를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2009년(4월)과 2012년(4월, 12월) 장거리 미사일 발사 때에는 예고 기간의 첫날에서 하루나 이틀 뒤 발사 버튼을 눌렀다.
○ 2012년 12월 발사 때와 낙하 및 비행궤도 유사
북한이 IMO에 통보한 발사 계획을 분석한 결과 2012년 12월 은하 3호 발사 때와 비행 궤도나 추진체의 낙하 지점이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1단 추진체는 서해 홍도 서쪽 바다에, 2단 추진체는 필리핀 동쪽 해상에 각각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3단 위성보호덮개(페어링)는 우리 영공을 통과하지는 않고, 제주 서쪽 해상에 낙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이 발사할 ‘위성(광명성)의 운반 로켓’이 은하 3호급 ICBM일 가능성을 강력 시사한 것이다.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1단과 2단 로켓(추진체)의 낙하 예상 위치로 볼 때 지구 궤도를 수직으로 도는 태양동기궤도에 위성을 올려놓을 걸로 예상된다”며 “2012년 위성 발사 때와 유사한 성능의 로켓을 사용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군 소식통은 “추진체와 페어링의 낙하지점 면적이 2012년 때보다 조금 늘어난 점을 볼 때 사거리가 더 늘어난 은하 3호 개량형일 개연성도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1998년 8월 대포동 1호부터 2012년 12월 은하 3호까지 총 여섯 차례에 걸쳐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 중 다섯 차례는 ‘광명성 1∼3호’를 지구 궤도에 올리기 위한 평화적 우주 개발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실제로 광명성 위성이 지구 궤도에 진입한 사실이 확인된 사례는 2012년 12월 은하 3호 발사 때가 유일하다.
정부 관계자는 “핵탄두의 무게가 500kg∼1t이라는 점에서 북한이 2012년 12월과 비교해 탑재 위성의 무게를 얼마나 늘렸는가가 이번 발사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대전=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