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집된 흰줄숲모기 7984마리 중 절반 이상이 따뜻한 제주서 발견
○ 제주, 4마리 중 1마리가 흰줄숲모기
질병관리본부가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에게 제출한 ‘2013∼2015년 모기 채집 결과’에 따르면 전국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22곳에서 채집된 흰줄숲모기 7984마리 중 4298마리(53.8%)는 제주에서 발견됐다. 그 다음으로 많이 발견된 대구(791마리) 대전(551마리)과의 격차도 상당했다. 2014년에는 채집된 흰줄숲모기 3414마리 중 제주에서 나온 것이 무려 3099마리(90.8%)였다.
다만 보건당국은 조사 기간 전국에서 채집된 모기 71만9447마리 중 흰줄숲모기가 1.1%에 불과했다는 점, 이 중 단 한 마리에서도 지카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은 점을 들어 제주 여행을 기피할 필요는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지카 바이러스를 주로 옮기는 것으로 알려진 이집트숲모기도 국내에서 발견된 적이 없다. 흰줄숲모기는 이집트숲모기와 함께 지카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 종으로 분류된다.
웨스트나일열(뇌 손상을 일으키는 뇌염의 일종)을 옮기는 금빛숲모기와 빨간집모기는 충남(10만2089마리)과 전북(1만2096마리)에 가장 많았고 말라리아의 매개체인 중국얼룩날개모기가 포함된 얼룩날개모기류는 충남(6만1452마리)에서 주로 발견됐다.
○ 모기 잡는 살충제 출시 10년 넘어
정부는 지카 바이러스 유행을 막기 위해 모기가 본격적으로 활동하는 4월 이후 전국적으로 특별방역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처음 허가받아 살충제를 출시한 이후에는 성분을 재평가받는 제도가 없다. 이 때문에 방역당국이 주로 사용하는 살충제는 처음 나온 지 10년 넘은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어 효과가 의심스럽다는 지적도 나온다. 모기는 생애주기가 짧아 살충제에 대해 빠르게 내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농약이 첫 출시 후 10년마다 재허가를 받는 점을 고려하면 살충제는 최소 5년마다 방제력을 재평가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임현석 lhs@donga.com·조건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