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드, 중국군의 표적 될 것”… 미사일 대응 찬물 끼얹는 中

입력 | 2016-02-11 03:00:00

[北 장거리미사일 발사 후폭풍]
쉽지 않은 대북제재 외교전




한국과 미국이 북한 도발에 대한 대응으로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협의를 공식화한 이후 중국, 러시아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중-러가 한미 당국의 대응조치에 반발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안 도출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러시아 외교부는 9일(현지 시간) 이고리 모르굴로프 외교차관이 박노벽 주러 한국대사를 불러 한미 양국의 사드 한국 배치 협상 개시 결정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고 공개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도 정부가 사드 논의를 공식 발표한 7일 김장수 주중 한국대사를 불러 한국의 결정에 대해 우려를 전달했다.

한국 정부가 사드 협의 발표에 앞서 중-러에 사전 설명을 했지만 두 나라의 태도는 변하지 않았다. 오히려 더 공세적인 태도로 한국을 압박하고 나섰다. 한국 발표일인 7일 밤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한국의 성급한 사드 동참 결정은 전략적 안목이 결여된 것으로 동북아 안보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며 “한국에 배치된 사드는 공식적으로 중국군에 의해 표적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중국이나 러시아의 주장에선 의도적인 왜곡이 포함돼 있다. 사드를 구성하는 탐지레이더(AN/TPY-2)는 전진배치 모드로 사용되면 탐지거리가 1800∼2000km에 달한다. 하지만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대공 레이더는 탐지거리가 길어질수록 일정 고도 이상의 공중 물체만 탐지할 수 있다. 탐지거리가 1800km가 넘어가면 약 190km 고도의 비행물체만 포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탄도미사일을 제외한 다른 군사 활동을 파악하기 힘들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두 나라의 반발은 사드 자체의 위협과 더불어 한국이 북한 도발로 인해 냉전 시절의 한미일 동맹으로 회귀하는 게 아니냐는 경계심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전승절 기념식 참석,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프로젝트 등을 이용해 중-러로 다가서던 박근혜 정부가 미국 일변도로 방향을 틀 수 있다고 보고 견제하는 측면도 있다.

한 외교 소식통은 “사드 배치 움직임을 ‘한국이 미국의 아시아 회귀 정책에 경도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중-러를 어떻게 대북 제재 논의로 다시 끌어오느냐가 현재 핵심 관건”이라고 말했다.

북한도 사드 배치 논의 비난에 가세했다. 북한 노동신문은 10일 “남조선(한국) 집권세력의 사드 배비(배치) 소동은 날로 악랄해지고 있는 미국을 비롯한 제국주의 침략세력의 반공화국 압살 책동의 연장”이라고 비난했다.

지난달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등 15개 유엔 안보리 이사국 외교장관 전원과 전화 통화를 마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9일부터 유엔본부를 직접 방문해 설득 외교를 재개했다. 정부가 10일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이라는 초강수를 꺼낸 것도 ‘강력 대북 제재’에 앞장서 다른 국가들의 동참을 끌어낸다는 의지를 보이려는 목적이 크다.

한편 미국 정부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아시아 재균형 정책에 다시 드라이브를 걸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 시간) 북한과 중국, 러시아 등의 사이버 위협 대처 명목으로 사이버 안보 예산을 35% 확충한 2017회계연도 세출예산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또 백악관은 오바마 대통령이 15일 시작되는 동남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의에서 북한 문제와 함께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문제를 다룰 것이라고 밝혀 중국 압박을 강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조숭호 기자 shcho@donga.com /워싱턴=이승헌 특파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