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혁신DNA 심는다]
코레일이 운영하는 O-트레인(중부내륙순환열차·왼쪽)과 V-트레인(백두대간협곡열차). 만성 적자 노선에 관광열차 개념을 도입해 수익 개선과 여행수요 창출의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코레일 제공
15일 코레일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114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2005년 공사 창립 이래 처음으로 2014년 1034억 원의 영업흑자를 기록한 데 이어 2년 연속 흑자 행진이다. 재무건전성도 크게 개선됐다. 2014년까지만 해도 부채 17조9000억 원, 부채비율 410.9%로 부실 공기업의 대명사로 불렸지만 지난해에만 부채 규모가 4조3000억 원 줄었고, 부채비율도 292.5%로 크게 낮아졌다.
코레일이 흑자기업으로 변신한 것은 수익 증대와 원가 절감 노력으로 저비용 고효율 사업구조로 변신했기 때문이라는 평가가 많다. 특히 호남고속철도 등 KTX 수혜지역이 확대된 것이 흑자 달성의 일등공신으로 꼽힌다. 코레일은 호남KTX 및 동해선(포항)KTX 개통에 따라 다양한 영업 전략을 세워 공격적 마케팅을 전개했다. 한국전력, 정부세종청사 등과 열차 차량 전세계약을 체결해 연 5억3000만 원의 고정수요를 확보했다. 또 급증하는 고객 수요에 발맞춰 목적지에 따라 열차를 뗐다 붙이는 복합열차를 도입해 안정적으로 좌석을 공급했다.
만성 적자노선에 관광열차를 도입해 수익성을 개선한 것도 효과를 봤다. 2013년 O-트레인(중부내륙순환열차), V-트레인(백두대간협곡열차)을 시작으로 S-train(남도해양열차), 비무장지대(DMZ)-트레인, A-트레인(정선아리랑열차), G-트레인(서해금빛열차) 등을 잇달아 개통해 철도관광벨트를 완성했다. 철도 중심의 새로운 여행문화를 창출해 지난해만 68만 명이 이용하는 등 적자노선 수익성 개선에 크게 일조했다.
영업흑자의 기반을 마련했지만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가 많다. 현재의 영업이익 수준만으론 누적된 부채를 줄이기는커녕 연 5000억 원 규모의 이자비용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노후차량 교체, 낡은 시설물 개량 등 국민 서비스 향상을 위해 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다”며 “지속적으로 영업흑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재영 기자 redfoo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