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속으로]

부산 해운대 시티코아 상가 4층 내부. 15년 전 지어진 건물이지만 관리 운영이 제대로 되지 않아 흉물스럽게 방치돼 있다. 강성명 기자 smkang@donga.com
아파트 단지로 둘러싸여 13만5000여 명이 거주하는 대형 상권 내 상가가 어떻게 이 지경이 됐을까. A 씨를 포함해 상가 구분소유주는 580여 명에 이른다. 이들에 따르면 2001년에 준공된 시티코아는 도시철도역에서 바로 연결되는 이점 등으로 당시 투자 열기가 대단했다.
하지만 얼마 후 시행사가 부도나 관리사를 선정하지 못했고 대부분 매장이 정상적으로 문을 열지 못했다. 2층의 소유주들은 상가 정상화를 위해 2년간 임대료를 받지 않는 조건으로 2006년 M사에 관리를 일임했다. 2층에는 곧 뷔페식당이 입점해 정상화가 이뤄지는 듯했다. 그러나 이도 오래가지 못했다. A 씨 등은 “관리사가 입점 상가들이 낸 관리비를 가로채기 시작했고 2층 외 나머지 층도 소유주 동의 없이 식당 가구점 등을 입점시킨 뒤 받은 임대료와 관리비를 마음대로 사용하면서 다시 몰락의 길을 걸었다”고 주장했다.
소유주들은 상가 지분 중 48%를 가진 롯데가 상가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 상가는 착공 전 롯데쇼핑이 지하 3개 층, 지상 1개 층을 먼저 분양 받았다. 건축도 롯데건설이 맡았다. 시행사가 파산하자 롯데건설이 각 층의 미분양 지분을 대물로 받았다. 이에 소유주들은 롯데가 책임지고 상가 운영에 나설 줄 알았다는 것. 이들은 “할인매장을 운영하는 롯데는 제 이익만 생각할 뿐 일반 소유주들의 피해에는 관심이 없는 것 같다”며 “대기업으로서 서민과 상생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해 주기 바란다”고 했다.
이에 대해 롯데 측은 “수백억 원을 투자해 놓고도 매년 큰 적자만 안고 있어 여러 번 철수를 고민했던 게 사실”이라며 “어떤 소유주보다 더 큰 피해를 보고 있는 만큼 합법적 대표성을 가진 소유주라면 하루라도 빨리 만나 머리를 맞대고 싶다”고 했다.
강성명 기자 smk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