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국회연설]“2·16선언이라 할 만해” “일방전달 아쉬워”
박근혜 대통령의 16일 국회 연설을 지켜본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안보 불안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 정부의 대책을 설명하고 국회에 협조를 구하는 모습은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정부 정책을 비판하는 진영을 끌어안는 구체적인 해법 제시는 미흡했다는 것이다.
이상환 한국외국어대 교수는 “‘2·16선언’이라고 할 정도로 북핵 문제의 주체가 되겠다는 모습을 보였다”며 “대북정책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호평했다. 다만 이 교수는 “대통령의 발언을 뒷받침할 수 있는 레버리지(지렛대)를 갖고 있느냐는 부분에서 충분히 고민했는지, 우방국들의 제재 조치나 압박을 담보한 것인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북한 문제 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는 중국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었던 부분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중국 전문가인 전가림 호서대 교수는 “중국도 박 대통령의 연설을 관심 있게 봤을 텐데 (한국 정부의 조치에 대한) 의구심이나 갈증을 해소하진 못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박 대통령은 연설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 등에 민감해하는 중국에 대해 “연대를 계속 중시해 나갈 것”이라고만 짧게 언급했다.
여론조사 전문가인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박 대통령의 국회 연설이 여론 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봤다. 국민에게 협조를 구하고 정치권에는 관련 법안 통과를 요구한 게 잘 전달됐다는 것이다.
송찬욱 기자 s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