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박윤석의 시간여행]영변과 진달래꽃

입력 | 2016-02-25 03:00:00


김소월 시인 초상(왼쪽)과 ‘진달래꽃’ 초판본.

김소월의 ‘진달래꽃’ 같은 오래된 시집 초판본이 새롭게 이목을 끈다는 소식이다. 책값 지출에 인색하기로 이미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듯한 한국에서 그 낡고 낯선 책자의 복제품을 새삼 집어 든다는 것은 아마도 복고 유행의 한 갈래인 듯하다. 세상은 요란한데 마음은 허전해서인가.

시집 ‘진달래꽃’이 나온 것은 1925년의 연말이었다. 한글로 된 출판물이 그리 다양하지 못하던 당시, 시집 출간 전부터 신문은 문단소식란에 “김소월 시집 ‘진달네꼿’ 인쇄 중”이라 예고하고 있었다(동아일보 1925년 12월 10일자). 크리스마스 다음 날 서울에서 출간된 시집은 신문의 신간소개란에 정가 1원 20전으로 소개됐다. 신문 한 달 구독료 1원보다 조금 많은 액수였다.

시집에 든 126편 중 ‘진달래꽃’은 1922년에 잡지 ‘개벽’ 7월호를 통해 ‘개여울’ 등 다섯 편과 더불어 발표된 작품이었다. 그때 ‘진달래꽃’에만 특별히 ‘민요시’라는 설명이 붙어 있었다. 당시 스무 살이었던 소월 김정식은 평안북도 정주에서 상경한 배재고등보통학교생이었다. 객지 서울에서 시를 기고하던 1922년부터 그의 명편들을 한데 묶은 시집 ‘진달래꽃’을 내어놓던 1925년까지 3년간은 사회주의 경향의 단체들이 각 방면에서 쏟아지던 시기이기도 했다. 시집이 나오던 그해의 봄, 진달래꽃이 한창일 무렵에 서울의 이름난 중화요릿집에서 조선공산당이 창건됐다.

‘나보기가 역겨워/가실 때에는/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영변에 약산/진달래꽃 아름 따다/가실 길에/뿌리오리다.’

‘한국 서정시의 신화이자 원형’으로 평가받게 되는 시가 나오고 근 70년이 지난 1990년대 들어서부터 시의 무대인 영변(寧邊)은 국내외 언론을 요란하게 장식했다. 북한이 그때부터 지금까지 20여 년간 정권 존립의 사활적 보루로 삼고 있는 핵시설의 총본산이 다름 아닌 영변이기 때문이었다.

이 시가 발표되기 전해까지 영변은 평안북도의 도청소재지였다. 대한제국 시기에도 관찰사가 주재하는 도의 중심이었다. 가파르고 험한 산세로 둘러싸인 영변의 읍성은 먼 옛날부터 철옹성(鐵甕城)이라는 고유지명으로 불렸다. 쇠로 만든 독처럼 튼튼하다는 것이다. 돌이켜보면 거대한 원자로를 연상시키는 지형이자 지명이라 할 만도 하다. 영변에서도 약산(藥山)은 높고 험한 기암절벽으로 유명한 명승인데, 봄이면 진달래로 뒤덮인 바위산이 화염에 휩싸인 듯 물든다 했다. 이래저래 불기운이 가득한 곳이었던가.

진달래는 척박한 바위틈 벼랑에서도 억세게 자라나는 속성의 한국적 꽃이라 한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지만 설마 그 영변이 관서팔경의 경승지에서 벼랑 끝 전술의 핵 기지로 돌변할 줄은 김정식도, 그보다 열 살 아래 김일성도 그때는 미처 몰랐을 것이다. 김정식은 시집이 나오고 꼭 9년 뒤인 1934년 말에 생활고와 씨름하다 영변에서 멀지 않은 고향 부근에서 32세 생애에 스스로 마침표를 찍었다.

일찍이 김일성은 조국이 광복되던 33세 때 고향 평양에 입성해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책임비서를 맡았다. 김일성이 13세일 때 조선공산당을 조직했던 박헌영은 광복 10년 뒤에 12세 아래 김일성에 의해 처형됐다. 박헌영이 장기간 감금되어 고문받은 곳으로 전해지는 평안북도 철산(鐵山)은 최근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쏘아올린 동창리 발사장이 속한 군이다.

서울에서 ‘진달래꽃’을 노래한 김정식의 영변은 김정일과 김정은의 핵 공장이 되었고, 서울에서 공산당을 창립한 박헌영의 종착지 철산은 김 씨 정권의 핵 발사장이 됐다.

김일성의 손자는 이제 북조선에 진주하던 때의 할아버지와 비슷한 나이가 되어 할아버지 못지않은 공포 통치로 동창리 무력시위를 독려했고, 아버지 생일을 기념하여 풍악을 울리며 철옹성 같은 인민의 충성을 유도했다.

정부 없는 나라에서 개인적인 악조건을 견디며 민족 서정시의 한 경지를 개척해냈다는 김소월. 그가 노래한 영변은 왕정복고의 전제군주를 연상케 하는 시대에 권력의 탐욕과 망상으로 훼손되고 오염되었다. 그가 시를 연마하고 꽃피워낸 서울 역시 붕당의 놀음으로 사분오열이다. 김소월은 광복도 보기 전에 두견새처럼 진달래 곁을 잠시 맴돌다 훌쩍 떠나버렸다. 시 구절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를 예언처럼 남기고.

박윤석 역사칼럼니스트·‘경성 모던타임스’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