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6’이 12일 개막한다. 한국프로축구연맹과 각 구단이 심판매수, 임금체불 등 불미스러운 과거를 거울로 삼아 올해는 깨끗하게 한 시즌을 보낼 수 있을지 궁금하다. 스포츠동아DB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6’이 12일 개막한다. 지난해 K리그는 젊은 선수들의 등장 등 여러 호재도 있었지만 안타까운 일도 벌어졌다. 일부 구단이 심판 매수를 시도했던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고, 인천 유나이티드와 광주FC는 재정적 문제로 선수단의 월급을 제때 지급하지 못했다. 올 시즌에는 이런 불미스러운 일이 되풀이되지 않고 성공적으로 리그가 진행될 수 있을지 궁금하다.
● 클린축구위원회 발족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지난해 연말 클린축구위원회를 발족했다. 축구계에 존재하는 반스포츠적 비위행위의 척결과 K리그의 재도약을 목표로 특단의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였다. 대한축구협회와도 공조하면서 비리와 관련된 선수, 감독, 에이전트, 구단 관계자, 심판 등을 축구계로부터 영구추방하고 꾸준히 모니터링하겠다며 대책 마련을 서둘렀다.
연맹 관계자는 “연맹에 수사권, 조사권이 없는 상황에서 불미스러운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려면 강력한 제재를 가하는 수밖에 없다. 지속적으로 교육하겠지만 프로축구 구성원들 스스로가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 K리그 구단들의 내실다지기는 가능할까?
도·시민구단이 탄생한 이후 부실운영에 대한 우려는 끊이지 않았다. 지방자치단체 지원금에 의존하는 도·시민구단들은 재정적 어려움을 자주 겪었다. 결국 일부 구단은 임금체불이라는 사태도 빚었다. 다행스럽게도 해당 시즌 종료 이전에 체불한 임금을 지급했으나, 근본적 문제는 해결됐다고 볼 수 없다. 연맹은 임금체불에 관한 규정을 갖고 있다. 임금체불이 발생한 구단에 대해 하부리그 강등, 6개월 이하의 자격정지, 1점 이상의 승점 감점 등 징계를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내용으로 징계를 받은 구단은 아직 없다.
연맹 관계자는 “연맹이 직접 나서서 뭔가 역할을 할 수 있는 부분은 없다. 각 구단이 예산에 맞게 운영해 임금체불 같은 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우선이다”며 “원칙적으로는 규정에 입각해 제재해야 하지만 구단의 사정을 알기 때문에 무작정 규정을 적용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고 말했다.
최용석 기자 gty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