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김도훈의 SNS 민심]한국의 온라인 지성, 인공지능 시대에 뒤처져

입력 | 2016-03-11 03:00:00


김도훈 아르스프락시아 대표

가슴이 울렁거린다. 이세돌 국수가 인공지능 알파고와의 바둑 대국에서 두 판 잇달아 패했다. 초반의 포석을 보고, 기계 학습을 적용하는 회사 최고경영자(CEO)의 관점에서 그간 알파고가 이세돌의 바둑 두는 패턴을 열심히 분석했으리라 짐작은 했다. 충격적이라는 상투어는 피하고 싶지만 가슴 한구석은 아직도 싸하다. 사실 남은 승패 여부와 관계없이, 이번 이벤트의 궁극적인 승자는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이다. 인공지능이 인간을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영역을 열어젖혔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언론들이 첫 대국 결과의 속보를 전하는 모습을 보면서, 몇 가지 씁쓸한 기억이 떠올랐다. 우선 올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가전전시회(CES)에 참석했을 때의 체험이다. 말이 가전제품이지, 새로운 인공지능의 시대를 알리는 선포장이나 다름없었다. 그런 시대정신에 비견해 국내 대기업들은 지나치리만치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집착했다. 중국의 추격이 거세지면서 하드웨어의 부가가치가 떨어질 것은 자명한데, 휴대전화를 만들 때와는 달리 로봇, 인공지능과 같은 미래 핵심 기술에서 주도권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를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사실 부리나케 라스베이거스로 달려간 이유는 당시 정부와 함께 수행하고 있던 온라인 미디어 분석 결과 때문이었다. 아직 기술이 가시화되기 전이었지만, 전기차와 자율주행차가 곧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뜨고 인공지능, 로봇이 뒤이은 시대의 핵심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2015년 3분기까지 국내 경제지들의 기사와 블로그의 글들을 분석하면서, 예전에 몰랐던 몇 가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일단, 국내 언론의 미래 기술 예측 역량이 전무하다시피 했다. 기업의 제품 출시와 행사, 혹은 정부 정책에 따라 기술을 뒤늦게 소개하는 홍보성 글들이 주로 반영되어서, 선제적으로 기술 예측을 하는 의미 있는 기사 패턴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전기차,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가 현저히 낮은 당시 언론의 기사는 불과 몇 개월 뒤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현실과는 괴리가 생겼다.

그나마 단 몇 개월만이라도 어떤 기술이 시장과 사회에서 중요해질지 예견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 국내 매체는 블로그였다. 이는 블로그에 전기차나 로봇, 인공지능과 관련된 글이 많아서가 아니라, 의미망 분석 결과 언급되는 여러 미래 기술들을 연결하는 허브로 인공지능이 도출되었기 때문이다. 무의식적인 집단지능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이 또한 한계가 있다. 인공지능의 연관어로 도출된 단어들을 살펴보면, ‘일자리’ ‘위협’과 같은 사회적인 우려가 아니면 ‘시스템’ ‘설계’ ‘프로그래밍’과 같은 기술적인 상투어밖에 없다. 기술을 주도하고 사회적으로 유리하게 통제하기 위한 비전과 전략은 보이지 않는다.

국내 온라인 미디어의 이런 담론 수준은, 해외 유수의 블로그들과 많은 비교가 된다. 지난 수년간 온라인 미디어 분석으로 마케팅 리서치와 선행 조사를 해 온 입장에서 말하자면, 외국의 일부 블로그는 심심치 않게 3년 후의 기술뿐만 아니라 시장이나 사회에서 중요해질 특성도 꽤나 정확히 예측하곤 한다. 국내 블로그의 미래 예측 기간이 3∼4개월 후라면, 10배 이상의 차이가 나는 셈이다. 그 무형의 가치가 내포하는 산업적 잠재력의 격차는 어마어마할 수 있다.

그리하여 지난 몇 개월간 뇌리를 떠나지 않는 물음이 생겼다. ‘SNS 등의 담론에서 보이는 한국의 온라인 지능은 과연 인공지능 시대를 준비할 수 있을까?’ 한동안 혼자서만 끙끙 앓고 있던 고민을 며칠 전 어느 정부연구소의 박사에게 털어놨다. 그 박사의 말인즉슨, 예전에는 블로그나 페이스북 같은 매체들이 지금보다는 훨씬 똑똑하고 상호소통적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지식인들이 마음 편하게 장문의 글을 SNS에 올릴 수 있는 여유도, 분위기도 느낄 수 없다고 했다. 구텐베르크의 시대에 인쇄활자라는 미디어를 금지했다면 오늘날의 문명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SNS가 새로운 시대를 여는 미디어라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수준 높은 집단지능을 복원할 수 있을까.

김도훈 아르스프락시아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