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훈 아르스프락시아 대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언론들이 첫 대국 결과의 속보를 전하는 모습을 보면서, 몇 가지 씁쓸한 기억이 떠올랐다. 우선 올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가전전시회(CES)에 참석했을 때의 체험이다. 말이 가전제품이지, 새로운 인공지능의 시대를 알리는 선포장이나 다름없었다. 그런 시대정신에 비견해 국내 대기업들은 지나치리만치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집착했다. 중국의 추격이 거세지면서 하드웨어의 부가가치가 떨어질 것은 자명한데, 휴대전화를 만들 때와는 달리 로봇, 인공지능과 같은 미래 핵심 기술에서 주도권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를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사실 부리나케 라스베이거스로 달려간 이유는 당시 정부와 함께 수행하고 있던 온라인 미디어 분석 결과 때문이었다. 아직 기술이 가시화되기 전이었지만, 전기차와 자율주행차가 곧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뜨고 인공지능, 로봇이 뒤이은 시대의 핵심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2015년 3분기까지 국내 경제지들의 기사와 블로그의 글들을 분석하면서, 예전에 몰랐던 몇 가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일단, 국내 언론의 미래 기술 예측 역량이 전무하다시피 했다. 기업의 제품 출시와 행사, 혹은 정부 정책에 따라 기술을 뒤늦게 소개하는 홍보성 글들이 주로 반영되어서, 선제적으로 기술 예측을 하는 의미 있는 기사 패턴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전기차,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가 현저히 낮은 당시 언론의 기사는 불과 몇 개월 뒤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현실과는 괴리가 생겼다.
국내 온라인 미디어의 이런 담론 수준은, 해외 유수의 블로그들과 많은 비교가 된다. 지난 수년간 온라인 미디어 분석으로 마케팅 리서치와 선행 조사를 해 온 입장에서 말하자면, 외국의 일부 블로그는 심심치 않게 3년 후의 기술뿐만 아니라 시장이나 사회에서 중요해질 특성도 꽤나 정확히 예측하곤 한다. 국내 블로그의 미래 예측 기간이 3∼4개월 후라면, 10배 이상의 차이가 나는 셈이다. 그 무형의 가치가 내포하는 산업적 잠재력의 격차는 어마어마할 수 있다.
그리하여 지난 몇 개월간 뇌리를 떠나지 않는 물음이 생겼다. ‘SNS 등의 담론에서 보이는 한국의 온라인 지능은 과연 인공지능 시대를 준비할 수 있을까?’ 한동안 혼자서만 끙끙 앓고 있던 고민을 며칠 전 어느 정부연구소의 박사에게 털어놨다. 그 박사의 말인즉슨, 예전에는 블로그나 페이스북 같은 매체들이 지금보다는 훨씬 똑똑하고 상호소통적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지식인들이 마음 편하게 장문의 글을 SNS에 올릴 수 있는 여유도, 분위기도 느낄 수 없다고 했다. 구텐베르크의 시대에 인쇄활자라는 미디어를 금지했다면 오늘날의 문명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SNS가 새로운 시대를 여는 미디어라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수준 높은 집단지능을 복원할 수 있을까.
김도훈 아르스프락시아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