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종엽 문화부 기자
흥미로운 것은 만화에 등장하는 어마어마한 능력을 갖춘 인공지능 무기 ‘스퀘어 오브젝트’다. 공리주의에 바탕을 두고 작동하는 이 인공지능은 최종 피해 규모 최소화를 목표로 민간인이 죽더라도 괴수를 향해 폭탄을 날리도록 설계됐다. 기상 예보, 행성 개조에 활용될 뿐 아니라 정책 제안 능력까지 가졌다.
만화 속 인공지능에 미국 중국의 지역 내 경쟁, 식민 지배를 제대로 반성하지 않고 재군비에 나서려는 일본 사이에서 우리가 취할 외교정책을 물어보면 뭐라고 답할까? 피도 눈물도 없는 이 인공지능이라면 아마 현실주의적 입장에 가까우리라.
중국 전국시대의 합종연횡책(合從連橫策)과 비교하면 이해가 쉽겠다. 대체로 진나라가 급부상한 상황에서 나머지 여섯 나라가 세로 방향으로 연합해 진나라에 맞서자는 게 합종책이고, 진나라와 가로 방향으로 힘을 합쳐 다른 나라를 공격하자는 게 연횡책이다. 합종책이 실패하자 나머지 국가들은 진나라에 의해 멸망당한다.
국제정치학의 동맹 이론도 연횡보다 합종 쪽으로 기운다. 강국이 등장하면 비교적 약한 주변국들이 뭉쳐 견제하며 ‘세력균형(밸런싱)’을 이루는 게 자연스럽다는 얘기다. 강국에 영합하는 ‘편승(밴드왜거닝)’ 전략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나중에 강국의 전횡에 대처할 수 없는 상황이 올 수 있는 탓이다.
지난해 말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를 인터뷰했을 때 그는 “동북아 평화를 위해 한일 간 안전 보장과 군사적 협력을 포함한 큰 평화 시스템의 구축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했다. ‘아시아여성기금’ 이사로 일해 논란도 있는 인물이지만 평화주의자로 살아온 그의 입에서 일본의 군사적 역할을 강조하는 듯한 얘기가 나왔을 때는 좀 의아했다. 아마 이 같은 맥락에서 한 말일 것이다.
만화 ‘나이트런’의 주인공은 인공지능 무기를 두고 “저건 기계일 뿐 사용하는 것은 인간이야. 나아지기 위해 변해야 하는 것도 (인간이야)”라고 말한다. 만화 속 인공지능이 실재한다고 해도 일제의 포학을 겪은 한국인의 역사와 감정을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실리와 역사적 정의의 실현을 조화시키는 것은 여전히 인간의 몫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