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동양대 교수. 동아일보 DB
진 교수는 20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김종인 셀프 공천은) 뭐 처음부터 예상이 됐던 거고… 비례 2번에 자신을 배치한 건 선거공학으로도 이해가 안 간다”고 지적했다.
그는 “선거를 책임진 사람이라면, 자신을 비례대표에서 선전했을 경우 예상되는 당선권의 맨 마지막 번호에 갖다놓는 게 정상”이라며 “그게 선거에 패할 경우 책임자로서 책임을 지는 상식적 방식인데, 비례 2번이면 설사 선거에 참패를 해도 자신은 살아남겠다는 얘기밖에 안 된다. 이건 정치윤리를 떠나 선거공학 적 합리성으로도 설명이 잘 안 된다”고 비판했다.
진 교수는 앞서 김종인 대표의 진영 의원 영입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그는 “진영의 영입은 선거공학 적 관점에서는 묘수일 수 있다. 국민의당이 시작한 중도층 획득 경쟁에서 거의 끝내기 한 수에 가까우니까. 역시 진영 영입에 총력을 기울였던 국민의당에서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는 건 그 때문이겠지”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어 “하지만 이는 결국 더민주의 정체성 자체를 흔들어놓아 전통적 지지자들의 힘을 빼놓게 된다. 김종인 대표 역시 이를 모를 리 없고, 그래도 집토끼들은 선거가 다가오면 결국 집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을 거라 생각하는 모양”이라고 걱정했다.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pt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