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2만7340달러… 6년만에 감소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이 6년 만에 감소해 2만7000달러대로 주저앉았다. 한국 경제를 떠받쳐 온 수출이 둔화되며 경제성장률이 다시 2%대로 꺾인 데다 원화 약세에 따른 환율 효과가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5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만7340달러(약 3093만5000원)로 전년(2만8071달러)보다 2.6% 감소했다. 달러 기준으로 1인당 GNI가 감소한 것은 글로벌 금융 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6년 만에 처음이다.
이로써 2006년 처음 2만 달러를 돌파한 1인당 GNI는 9년째 3만 달러 고지를 넘지 못했다. 1인당 GNI는 금융 위기 여파로 2009년 잠시 후퇴한 뒤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다 지난해 다시 뒷걸음질쳤다.
▼ 소비―투자 위축 ‘중진국 함정’ ▼
환율 영향을 제외하고 원화 기준으로 보면 1인당 GNI는 2014년(2956만5000원)보다 4.6% 증가했다. 올해도 미국의 금리 인상, 중국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달러 강세 흐름이 계속되고 있고 국내 경제 전망도 어두워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돌파가 쉽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국 경제는 세계 경제 동반 침체로 인한 수출 급감, 소비 부진 등이 겹쳐 2%대 저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높다.
이에 따라 일본, 유럽 등 주요 선진국들이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를 돌파한 뒤 4∼6년 만에 3만 달러 시대를 열었던 것과 달리 한국은 오랜 기간 2만 달러대에 정체돼 있어 ‘중진국 함정’에 빠져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가계는 지갑을 닫고 기업은 투자를 주저하면서 한국 경제의 ‘장롱 경제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국민계정에 따르면 지난해 민간과 정부의 총저축률은 35.4%로 2004년 이후 11년 만에 최고치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