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경제 어렵고 시위로 몸살 앓지만… “자유의 봄, 포기 못해”

입력 | 2016-04-01 03:00:00

[통일코리아 프로젝트 4년차/준비해야 하나 된다/민주주의 실험 현장을 가다]
<上> 튀니지, 독재 넘어 시민사회로




《 2010년 ‘아랍의 봄’을 시작으로 독재 정부를 몰아낸 튀니지. 혁명 이후 처음 경험하는 민주주의는 낯설지만 튀니지 국민 대다수는 독재 시절로 돌아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아직은 분쟁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팔레스타인은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제시한다. 요르단에선 시리아 난민 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독재와 권위주의에서 벗어나는 주민들의 모습이 단계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이들의 새로운 도전을 돕는다. 통일 과정에서 북한 주민들이 헤쳐 나가야 할 길을 미리 보여주는 이 모습은 한국의 미래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동아일보는 3회에 걸쳐 독재의 굴레에서 벗어나 민주주의를 향해 길을 찾는 사람들의 모습을 소개한다. 》

재스민 혁명으로 활기 찾고… 지난달 26일 튀니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수도 튀니스의 중심가인 하비브 부르기바 거리에 있는 이븐 할둔 동상 앞에서 전 세계에 평화와 사랑의 메시지를 보내는 행사를 하고 있다. 튀니지 민주혁명인 2010년 재스민 혁명 전에는 볼 수 없었던 광경이다. 튀니스=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1“가스린. 고용은 헌법에 보장된 우리의 권리다!” “가스린. 우리는 약속이 아니라 진짜 일자리를 원한다!”

3월 23일 오전 10시경(현지 시간). 튀니지 수도 튀니스의 고용부 앞에서 젊은이들이 노숙 시위를 벌였다. 가스린은 튀니지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 2010년 재스민 혁명(아랍 민주화 혁명)이 시작된 시디부지드와 함께 혁명의 중요한 거점이었다. 아직 민주주의의 꽃이 제대로 피지 않았기 때문일까. 올해 1월에도 20대 후반 실업자가 가스린에서 청년 일자리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다 사망했다.

재스민 혁명의 진원지인 튀니지는 민주주의 헌법을 만든 뒤 선거로 대통령을 뽑았다. 아랍의 봄을 겪은 국가 중 유일하게 민주주의 체제를 택했지만 30%에 이르는 고학력 실업률, 테러로 인한 치안 불안, 경제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 같은 시간, 튀니지 총리실 직속 중앙시민관계국(BCRC)에 허름한 차림의 한 남성이 들어섰다. BCRC는 시민들의 민원, 부패 신고를 받는 곳이다.

“저는 가스린에서 왔습니다.”

고용부 앞의 시위자가 항의하러 여기까지 온 걸까.

스물일곱 살의 지우비 소피엔 씨. 전산 엔지니어인 그는 실직자다. 그는 시위가 아니라 정부에 어려움을 상담하러 왔다. 농사를 해보고 싶다며 절차를 물었다. 지쳐 보였지만 상담 내용에 만족을 나타냈다. 그는 “혁명 이후 권위적이었던 체제가 법에 근거한 자유로운 체제로 바뀌어서 좋다”고 말했다.

여전히 시위로 몸살을 앓고 있는 튀니지. 하지만 혁명 이후 소피엔 씨처럼 시위 대신 총리실을 직접 찾아 정부와의 직접 대화를 택하는 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BCRC의 파이자 리맘 국장(여)은 “이것이 민주주의로 가는 길”이라고 말했다.

그는 KOICA가 튀니지 정부를 도와 내년에 설치할 전자 국민신문고를 빨리 도입하고 싶다고 했다. 정부를 찾지 않고도 인터넷으로 민원과 부패 신고를 할 수 있다. 국민신문고 사업에 대한 설명을 들은 소피엔 씨는 “정말 좋은 소식”이라고 반겼다.



 지난달 24일 튀니지 수도 튀니스의 조달청 내 전자조달시스템(TUNEPS) 헬프데스크에서 직원들이 기업들의 정부 사업 입찰 신청 상황을 컴퓨터로 확인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민주혁명 이후 정부 행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인 튀니지 민주주의 실험의 성공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 튀니스=한규성 채널A 기자 hks1201@donga.com

#3 KOICA는 올해 유엔개발계획(UNDP)과 함께 튀니지 정부의 반(反)부패 정책과 시민단체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왜 민주화 과정에 부패 해결이 중요할까.

튀니지에서 만난 주자네 퀸 UNDP 반부패 관련 최고기술고문은 “혁명 전 정부의 심각한 부패 문제가 젊은이들을 화나게 한 혁명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체제 전환기의 중요한 과제가 독재정부 시절 뿌리내린 부패를 청산하는 일이다. 불신과 반목의 불씨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튀니지 정부는 공공서비스·좋은거버너스·반부패부와 독립적 기관인 반부패청을 만들었다.

#4 3월 25일 튀니스의 한 호텔. 반부패청이 반부패 문제를 주제로 처음 개최한 콘퍼런스가 열렸다. 정부 기관 시민단체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튀니지의 반부패 관련 비정부기구(NGO) 압데다옘 켈리피 부대표는 “혁명 전에는 이런 정치적 주제로 자유롭게 토론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공공서비스·좋은거버너스·반부패부 카멜 아야디 장관은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모든 시민들이 반부패 투쟁에 참여하도록 할 것”이라며 “내부고발자 시스템을 만드는 데 한국의 도움을 얻고 싶다”고 말했다. 차우키 타비브 반부패청장은 “혁명을 통해 독재정권을 몰아냈듯이 반부패 투쟁에서 반드시 승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 민주혁명 이후 부패, 테러, 실업 문제에 시달리고 있지만 튀니지 국민들은 현재에 대한 실망과 좌절보다는 민주주의 발전에 대한 희망과 자신감을 내비쳤다.

젊은 여성 정치인들을 교육하는 NGO ‘여성의 소리’에서 활동하는 지하네 벤야히아 변호사(28·여)는 혁명이 일어났을 때 프랑스 파리 유학 중이었다. 혁명 전에는 정치권력의 통제가 싫어 돌아오고 싶은 마음이 없었지만 혁명 뒤 “무언가를 해보자”고 결심한 뒤 귀국했다. 그는 “혁명 뒤 (독재의) 문제점이 밝혀졌고 표현의 자유가 열렸다”며 “젊은 여성 정치인들을 교육하면서 그들이 ‘내가 살아 있구나’라고 느끼는 걸 본다”고 말했다. 혁명 전에는 생각할 수조차 없던 일이었다. KOICA는 이 단체에 올해 8만8000달러를 지원했다.

체제 변화는 사람들도 변화시킨다.

“혁명 전에는 1인 독재자가 모든 걸 결정했다. 선거 결과가 조작돼 믿을 수 없었다. 부패가 많아 고생도 많이 했다. 이제 민주 선거로 선출된 의회가 통제하는 정부를 신뢰할 수 있는 점이 확실히 좋다.”(자우하르 마스무디·감리회사 대표)

“난 혁명 전 좋은 교육을 받고 충분한 월급을 받았지만 정치적 통제 속에 살았다. 이젠 자유롭게 의견을 낼 수 있고 어떤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다. 다양성과 대화를 바탕으로 지금의 어려운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할 충분한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게 튀니지 국민의 강점이자 민주주의의 원동력이다.”(웨즈덴 므랍티·31·여·전 튀니지 문화부 직원)

튀니스=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