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명 소비자경제부 기자
청년을 깨운 힘은 창업 지원금도, 널려 있는 일자리도 아니었다. 번뜩이는 아이디어 하나로 ‘제2의 구글’, ‘제2의 우버’가 될 수 있다는 미래에 대한 기대였다. 현지에서 채용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는 문아련 씨(32·여)는 “실리콘밸리를 세계 제일의 창업 공간으로 만든 원동력은 어떤 사람이든 만날 수 있고 그들의 노하우를 들을 수 있는 이곳만의 문화”라고 말했다.
실리콘밸리 도시인 샌프란시스코나 새너제이 시내에는 창업자를 위한 공간이 넘쳐난다. 노트북 하나만 들고 자신만의 사업을 진행하는 1인 창업자들은 그곳에서 동료와 스승, 투자자를 만난다. 구글이나 페이스북 등 거대 기업으로 성장한 곳도 종종 지역 창업자를 위한 모임을 연다. 개방성은 실리콘밸리의 가장 큰 힘이다.
기자는 이번 기획을 위해 총 14명의 한국인 창업자 및 취업자에게 취재를 요청했다. 현장에서 인터뷰 2시간 전에 취재를 요청한 곳도 있었지만 대부분 흔쾌히 취재에 응했다. 마이크로소프트 등 대기업 재직자도 있었지만 그들의 공통된 반응은 “여기는 실리콘밸리다. 누구든 만나겠다는 사람이 있으면 만나 준다”는 것이었다.
1주일 전부터 취재 요청을 했지만 결국 인터뷰에 실패한 곳이 딱 한 곳 있다. 바로 한국의 S사(社)다. 이곳의 한국인 직원에게 미국 취업의 비결을 묻는 인터뷰를 하겠다고 요청했다. 그는 흔쾌히 응했고, 미국 지사도 ‘OK’ 사인을 냈다. 실리콘밸리의 정서다.
문제는 인터뷰 3일 전. 해당 직원에게서 “인터뷰할 수 없게 돼 미안하다”는 e메일이 왔다. 홍보팀 직원이 배석하지 않으면 어떤 인터뷰도 진행할 수 없다는 본사의 통보가 내려왔기 때문이었다. 이미 질문할 내용까지 전달했지만, 홍보 조직이 없는 실리콘밸리 지역에선 결국 S사 인터뷰를 할 수 없었다.
실리콘밸리에서 한국 기업의 경직된 기업문화는 ‘유명’하다. 구글에서 근무하던 재미동포 A 씨는 실리콘밸리 내 한국 기업으로 이직을 시도했다. 그러나 채용 절차를 거치면서 포기했다. A 씨는 “직원들에게 창의성과 영감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체제 내로 얼마나 잘 편입할 수 있는지를 보는 면접이 계속됐다”며 “그래선 실리콘밸리 인재를 뽑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명 소비자경제부 기자 jmp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