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가 시작된 1분기(1~3월) 중국과 북한의 교역규모가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오히려 12.7%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5일부터 대북 제재를 시작한 중국은 “(중국이)대북 제재에 들어가기 전 통계”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하면서도 안보리의 대북 제재가 시작된 3월 분 교역 내역 공개는 거부했다. 중국이 겉으로는 북한 압박을 하고 있다고 하면서도 실제론 다르게 행동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살만한 대목이다.
황쑹핑(黃頌平) 중국 해관총서(관세청) 대변인은 13일 오전 베이징 국무원에서 열린 중국의 1분기 무역통계 설명 기자회견에서 1¤3월 북중 교역액이 총 77억9000만 위안(약 1조375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했다고 밝혔다. 대북 수출액은 39억6000만 위안(약 6994억 원)으로 14.7% 늘어났고, 북한으로부터의 수입액은 38억3000만 위안(약 6764억 원)으로 10.8% 증가했다. 중국의 대북 수출품은 기계·전자제품, 섬유나 의류 같은 노동집약상품 및 농산품이고 수입품은 석탄과 철광석이다.
1분기 북중 교역 통계는 공식 발표가 아닌 질의응답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지난 달 3일 유엔안보리 결의 2270호가 채택된 이후에도 교역량이 증가했다는 해석이 가능해지자 해관총서는 바로 진화에 나섰다. 황 대변인은 “중국은 5일 대북 제재 이행 방안을 발표하고 즉각 제재 이행에 돌입했다”며 “1분기 북중 교역 통계는 대북 제재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황인찬 기자 hic@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