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6일 광주광역시에 사는 고혈압 환자 김모 씨(57)가 갑자기 쓰러졌다. 현장에 도착한 월곡·하남소방서 소속 구급대원들은 간단한 응급처치를 하고, 구급차에 김 씨를 태웠다. 이후 영상을 전송하는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해 조선대병원 응급의학과 의료진에게 의료자문을 구하면서 이송을 진행했다.
의료진은 구급대원에게 자동제세동기를 5회 사용하고 에피네피린 등 약물 주입할 것을 주문했다. 의료진의 지도를 받으며 전문적인 응급처치가 이뤄지자 김 씨의 심장은 이송을 시작한지 13분 만에 돌아왔다. 조선대병원 관계자는 “스마트 의료지도가 없었다면 이 환자의 심장이 다시 뛸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심정지 환자가 발생 했을 때 구급대원과 응급실 의사가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폰을 통해 현장 영상을 공유하면서 조금 더 전문적인 응급처치가 이뤄지는 ‘스마트 의료지도’가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8월부터 9개 의료기관과 19개 소방서에서 ‘스마트 의료지도 시범사업’을 실시한 결과 환자들의 회복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임호근 복지부 응급의료과장은 “시범사업 규모를 올해까지 20개 의료기관, 29개 소방서로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
유근형 기자 noel@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