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만수산(萬壽山) ‘드렁 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져 백년(百年)까지 누리리라.”
최근 종영한 인기 사극 ‘육룡이 나르샤’에서 주인공 태종 이방원이 아버지 이성계가 아꼈던 포은 정몽주에게 조선의 개국에 동참하길 바라며 지었다는 시조 ‘하여가’ 중 일부다. 태종은 드렁 칡처럼 얽혀 살길 끝내 거부한 정몽주를 주살했고 훗날 조선의 3대 왕으로 등극했지만 정작 ‘드렁 칡’을 먹지 못해 한평생 목 디스크로 인한 견비통(肩臂痛)으로 고생했다. 한평생 주변 사람들과 칡과 등나무처럼 얽혀 갈등(葛藤)을 일으키고 살았지만 칡의 뿌리인 갈근(葛根)의 효능을 몰랐던 것이다.
조선왕조실록 곳곳에는 태종이 목에서 어깨, 팔, 손으로 이어지는 통증 때문에 매우 힘들어했다는 기록이 이어진다. 재위 13년부터 “풍질(風疾)이 있어 힘들어했다”는 기록이 보이더니 11월에는 “임금의 손이 회복되지 않아 흘(笏·옥으로 만든 도구)을 잡기가 어렵다”거나 “오른팔이 시리고 아리며 손가락을 펴고 구부리는 것이 어려웠다”는 기록이 보인다. 세종 1년에는 “상왕(태종)이 목이 뻐근하고 아파서”라는 기록도 있다. 증상을 종합하면 태종의 통증은 지금으로 말하자면 목 디스크로 인한 견비통과 유사하다.
형상은 비록 얽혀 있으되 실제 그 약효는 묶인 것을 풀어주는 칡. 태종이 칡의 효능만 제대로 알고 있었어도 견비통 없이 ‘백년(百年)’까지 ‘만수(萬壽)’를 누릴 수 있지 않았을까.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