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디한 도시들의 박물관 다이닝
《미술관 안에 있는 카페나 식당을 관람객들의 배고픔이나 갈증을 달래주기 위해 샌드위치, 샐러드 등 가벼운 요깃거리나 음료를 제공하는 곳으로 여긴다면 오산이다.
최근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만나는 레스토랑은 이런 선입견을 산산조각 내며 뜻밖의 예술작품을 만난 것 같은 신선한 충격을 준다.
뮤지엄이 갖는 ‘임장감(臨場感)’을 바탕으로 예술을 입힌 감각적인 공간, 세계 미식 인증서로 통하는 ‘미슐랭 스타’를 획득할 만큼 수준 높은 요리, 그 도시의 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이 녹아 있는 콘텐츠.
기분 좋은 주객전도의 주인공들 중에서도 지금 최전선에서 ‘뮤지엄 다이닝’을 맛있게 달구고 있는 각국의 레스토랑 5곳을 모았다.》
벨 에포크로의 노스텔지아, 므시외 블뢰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의 모습. 이 미술관만큼이나 미술관에 있는 레스토랑 네루아는 유명하다. 박물관 레스토랑으로는 최초로 미슐랭 1스타를 받은 곳. 간결하면서도 혁신적인 요리가 사람들의 감각을 자극시킨다.바앤다이닝 제공
프랑스 파리에서 가장 장식적인 건물로 꼽히는 미술관 ‘팔레 드 도쿄’는 아방가르드 예술을 관람할 수 있는 이상적인 장소일 뿐 아니라 파리의 상징적 라이프스타일을 담아낸 곳이다.
그중에서도 1층에 있는 레스토랑 ‘므시외 블뢰(Monsieur Bleu)’는 우아하고 세련된 복장의 신사 숙녀들이 밤이 늦도록 문화를 향유하며 사교를 즐기던 벨 에포크(‘좋은 시대’란 뜻으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풍요로웠던 파리를 일컫는 말)의 낙천적 에너지가 느껴지는 곳이다.
에펠타워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드넓은 테라스, 10m가 넘는 층고, 일찌감치 재능을 인정받은 세계적인 디자이너 조제프 디랑이 디자인한 공간은 매우 전통적이면서도 현대적이고, 우아하면서 세련되고, 왠지 까다로우면서도 친근하다.
특히 가장 프랑스다운 요리들이 주를 이루는데 파리에서 가장 아름다운 테라스를 가진 곳답게 계절을 반영한 재료로 맛을 낸다.
햇살이 좋은 따뜻한 저녁이라면 파리에서 가장 아름다운 테라스에서 환상적인 에펠 타워를 바라보며 저항할 수 없는 파리지앵의 우아함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테라스는 5월에 개장해 9월까지 운영한다.
도심의 오아시스, 그레이트 코트 레스토랑
더 브로드 미술관 옆에 위치한 레스토랑 오티움의 모습. 현대적인 디자인의 공간에서 셰프가 직접 키운 재료로 만든 요리를 즐길 수 있다. 시에라 프레스콧 제공
그레이트 코트 레스토랑은 그레이트 코트의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데, 박물관에 방문하거나 인근에 왔다면 꼭 들러볼 만한 런던의 핫 플레이스로 자리 잡았다. 매일 직접 구운 페이스트리와 짭조름한 스낵류를 유기농 찻잎으로 우려낸 고급스러운 차와 함께 맛보거나 신선한 샐러드와 나눠 먹을 수 있는 캐주얼한 요리들로 기분 좋은 점심 또는 저녁을 즐길 수 있다.
맨해튼 최고의 핫 플레이스, 언타이틀드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에 있는 레스토랑 네루아의 내부모습. 안도니 에펠데 제공
미국을 대표하는 현대 미술 작품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휘트니 뮤지엄이 지난해 5월 미트패킹 디스트릭트 갱스부르 스트리트로 이전하면서 새롭게 1층에 개장한 ‘언타이틀드(Untitled)’는 뉴욕에 가면 꼭 들러봐야 할 레스토랑으로 떠올랐다.
정육점이 즐비한 낙후지역이던 미트패킹 디스트릭트가 첼시 마켓, 하이라인 등의 랜드마크와 부티크 호텔, 디자이너 숍과 레스토랑들이 들어서면서 맨해튼의 핫 플레이스로 변모했는데, 휘트니 뮤지엄도 이곳에 합류한 것이다.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건축가 렌초 피아노는 인근의 허드슨 강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도록 이 건물의 한 면을 통유리로 설계했다. 덕분에 언타이틀드의 테라스는 허드슨 강과 하이라인을 내려다보는 풍경과 맨해튼 최고의 선셋 뷰를 자랑한다.
미국 요식업계의 권위 있는 상 ‘제임스 비어드 어워드’에서 2015년에 ‘아웃스탠딩 셰프’로 뽑힌 마이클 앤서니 셰프가 주방을 맡고 있다. ‘그래머시 태번’을 뉴욕의 대표 레스토랑으로 키운 그의 요리 솜씨를 이곳에서도 맛볼 수 있게 됐다. 식사뿐만 아니라 재기발랄한 아이디어로 재구성된 미국의 클래식 디저트도 빠뜨릴 수 없는 추천 메뉴다.
라이징 스타 셰프의 텃밭 요리, 오티움
오티움의 대표 요리인 쇠고기 타르타르. 시에라 프레스콧 제공
네루아에서 맛볼 수 있는 키노아를 곁들인 앤초비 요리. 호세 루이스 로페즈 드 수비리아 제공
최초의 미슐랭 뮤지엄 레스토랑, 네루아
미국 뉴욕에 있는 휘트니 뮤지엄의 레스토랑 언타이틀드에서 맛볼 수 있는 당근과 콩을 곁들인 토스트. 앨리스 가오 제공
주방을 맡고 있는 호세안 알리하 셰프는 지역 농장에서 자란 채소와 비스케 만에서 잡은 해산물을 이용해 특유의 바스크 요리를 선보인다. “불필요한 것은 배제하고 가장 기본적인 재료를 이용해 본질에 충실한 요리를 만든다”는 게 이 레스토랑의 철학이다.
그래서인지 크지 않은 공간만큼 요리도 아담하다. 키노아와 세이지를 곁들인 앤초비, 타로토란·흰강낭콩·무를 이용한 요리 등 무늬 없는 흰 접시에 2, 3가지의 요소만 담아낸 요리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이다.
프랑스 파리의 미술관 ‘팔레 드 도쿄’ 1층에 있는 레스토랑 ‘므시외 블뢰’ 내부의 모습. 바앤다이닝 제공
글: 박홍인 바앤다이닝 편집장
/ 장수연·김예올 바앤다이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