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연 크리베이트 대표
‘즐거워지기 위해 너무 많은 돈이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에서도 한국(61%)은 중국(54%), 일본(46%), 미국(39%), 독일(18%)을 압도했다. 한국인은 즐거움을 느끼는 데 돈에 더 의존하는 듯한 인상이다.
그런데 행복은 ‘돈 많은 순(順)’이 아니라는 사실은 잘 알려진 이야기. 유엔이 발표한 2015년 세계 행복지수에서 한국은 58위로, 아시아권에서도 태국(33위)과 말레이시아(47위)는 물론 카자흐스탄(54위)보다 더 낮다. 한국 경제는 줄곧 성장해 왔는데 행복지수는 2013년 41위, 2014년 47위에 이어 하강 곡선을 그렸다.
1주일 중 며칠간 즐겁지 않은지 물어봤다. 한국인은 평균 3.1일이 전혀 즐겁지 않다고 답해 독일인의 거의 두 배다.
그래서 즐거움을 더 많이 기대한다. 한국 응답자의 86%가 더 많은 즐거움이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독일(50%), 미국(68%)에 비해 현저히 높다. 과도한 금전 의존도 문제지만 즐거움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은 만큼 쉽게 만족에 이르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에다 한국인은 ‘어떻게 해야 즐거워질 수 있는지 모르겠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다. 욕망 조절 못지않게 즐거움을 느끼는 방법과 통로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박성연 크리베이트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