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무부가 북한 등 미 정부가 지정한 제재 대상국에 기술 제품을 수출 또는 재수출한 모든 정보를 제출하라고 중국의 스마트폰 등 전자·통신제품 제조업체인 화웨이(華爲)에 요구했다. 미 재무부가 1일(현지 시간) 북한을 ‘주요 자금세탁 우려대상국’으로 지정하며 북한 금융기관은 물론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금융기관도 제재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맞물려 북핵 해법을 놓고 미중 간의 갈등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2일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최근 화웨이에 북한, 시리아, 이란, 쿠바, 수단 등에 미국 기술이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된 제품을 수출한 5년 치 내역을 제출할 것을 요구하는 소환장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또 화웨이가 본사가 아닌 제3의 회사를 통해 이들 국가로 보낸 화물 내역 기록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이런 내용을 담은 소환장은 텍사스 주 플레이노에 있는 화웨이 미국 지사로 최근 발송됐다.
NYT는 “화웨이 관계자들에게 지난달 상무부가 개최한 관련 회의에 직접 참석해 증언하거나 그 전에 관련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 소환장에 담겨 있었다”고 설명했다.
상무부는 NYT에 “조사가 이뤄지는 사안에 대해서는 어떤 얘기도 할 수 없다”며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았다. 하지만 화웨이는 조사와 관련해 “회사가 진출한 국가의 법과 규정을 준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수출 규정 준수와 관련한 강력한 회사 정책도 있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올해 3월 화웨이의 중국 내 경쟁사인 ZTE가 이란 등 제재국에 미국 기술이 담긴 제품을 수출해 규정을 어겼다며 제재를 가한 바 있다. ZTE는 미국산 부품과 소프트웨어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당시 중국 정부는 미국의 제재에 강한 불만을 나타냈으며 미 상무부는 3월 말 ZTE가 미 정부와의 약속을 충실히 이행하는 조건으로 제재를 풀어줬다.
워싱턴 정가에선 화웨이의 회사 규모가 ZTE보다 훨씬 큰 만큼 상무부가 벌이는 이번 조사의 파장이 더 클 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2014년 말 현재 화웨이 매출은 600억 달러(약 71조원)로 ZTE의 4배에 이른다. 화웨이는 스웨덴 에릭슨과 함께 안테나 등 최대 통신장비 공급업체로 꼽힌다.
또 화웨이는 시장조사업체 가트너 조사기준으로 올해 1분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8.3%로 삼성전자(23.2%), 애플(14.8%)에 이어 세계 3위를 기록했다. 화웨이는 이란과 시리아 등 제재 국가에서도 사업하고 있다고 NYT는 설명했다. 특히 화웨이의 스마트폰은 북한에도 판매되고 있다고 미국의 소리 방송은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