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정조는 죽기 13일 전인 1800년 6월 15일 심환지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래와 같은 병세를 호소했다. “나는 뱃속의 화기(火氣)가 올라가기만 하고 내려가지는 않는다. 여름 들어서 더욱 심해져 차가운 약제를 몇 첩이나 먹었는지 모르겠다. 항상 얼음물을 마시고 차가운 온돌에 등을 붙인 채 잠을 이루지 못한다.”
정조가 말한 위로 오르는 열감과 불면증, 불안 등은 보통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일치한다. 정조를 평생 진료했던 주치의 수의(首醫) 강명길은 ‘가미소요산’이란 처방으로 정조의 절대적 신임을 얻는다.
이 처방은 심장부와 손·발바닥의 열감, 가슴이 두근거림, 볼이 붉어짐, 입과 목이 마름, 열이 났다 추워지는 증상에 주효했다. 갱년기 증상에 이 약을 사용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가미소요산에 들어가는 당귀와 작약은 혈(血)을 보충하고 혈행(血行)을 촉진한다. 백출과 복령은 위장을 튼튼하게 한다. 시호는 가슴에 오르는 열을 내리며 긴장을 해소하며 치자와 목단피는 갱년기 허열(虛熱)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요즘 건강보험 약품 가격으로 몇 천 원에 불과한 이 약이 조선의 개혁 군주 정조가 가장 사랑한 약이었다는 사실이 새삼스럽다.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