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NSC 출범후 73회 열려… 북핵-미사일 발사때 즉각 소집 멤버 5명뿐… 속내 터놓고 논의, 아사히 “논의 내용 철저히 비밀 정책 결정과정 검증 한계” 지적
NSC의 주요 결정은 ‘4대신(大臣) 회의’에서 내려진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겸 재무상,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상, 나카타니 겐(中谷元) 방위상 등 4개 부처 장관과 아베 총리가 멤버다. 멤버라고 해봐야 5명밖에 안 되니 일만 생기면 언제든지 모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북한이 핵실험이나 장거리 미사일 발사 같은 도발을 저지를 때마다 일본 정부가 청와대보다 빨리 NSC를 개최하는 비결이 여기에 있다.
한국 NSC는 대통령을 의장으로 국무총리, 국가정보원장, 통일·외교·국방부 장관, 대통령비서실장, 대통령국가안보보좌관 등 8명으로 구성된다.
NSC가 창설된 2013년 12월 이후 2년 반 동안 ‘4대신 회의’는 모두 73차례 열렸다. 월 2, 3회꼴이다. 의제는 북한 관련이 11회로 가장 많았다.
때로는 각료가 제안한 안건으로 회의가 열리기도 한다. 2013년 12월 남수단에서 유엔평화유지활동(PKO)을 하던 자위대가 한국군에 탄약 1만 발을 제공했는데 이를 결정한 것도 NSC였다. 오노데라 의원은 “자위대의 탄약이 다른 나라에 전달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어서 좀 더 큰 시야에서의 판단이 필요했다”고 회고했다.
NSC 지원 조직은 약 70명의 관료로 구성된 국가안전보장국(NSS)이다. 수장(首長)인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국장은 아베 총리의 최측근이다. 외국 정상들도 야치 국장과 교섭하면 아베 총리와 직결된다는 사실을 알고 접근해 오기도 한다.
야치 국장은 지난해 한국과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협의나 2014년 중일 관계 개선을 위한 합의문서 작성 등 중요한 외교 사안이 발생할 때마다 상대국과 물밑 교섭을 벌였다. 관저가 중심이 돼 방향성을 미리 정하고 총리 측근이 교섭에 나서는 방식이다. NSC의 전 멤버는 “일본에서 외교와 방위는 각 부처가 아니라 총리관저 주도로 행하는 체제가 완성됐다”고 말한다.
도쿄=서영아 특파원 sy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