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도 홈비서 기기 연내 출시
“Somewhere over the rainbow…, 제 목소리 정말 아름답지 않나요?”
이처럼 한국말을 이해하고 여기에 맞는 답을 내놓는 ‘인공지능(AI) 홈 비서’를 이르면 하반기(7∼12월)부터 국내 가정에서도 만나볼 수 있게 된다. 오토는 KT의 AI 기반 홈 개인비서로 현재 테스트 중이고 연내 출시될 예정이다.
글로벌 기업 가운데서는 아마존 구글 애플 등 대형 유통기업과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앞다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AI 홈 비서 기기를 내놓거나 출시를 예고하고 있다. 이들은 집 안 가전제어에서 더 나아가 생필품 주문, 택시 호출 등의 기능을 추가하며 AI 홈 비서의 외연을 넓히고 있다. 바야흐로 AI 홈 비서 시대가 막을 올린 셈이다.
○ 국내 이통사, 가전사 등과 AI 홈 비서 선봬
“채널A 켜줄래?”
LG유플러스가 2월 선보인 ‘IoT허브’를 거실에 설치한 김모 씨(43)가 이렇게 얘기하자 TV에 해당 채널이 켜졌다. 취침을 앞두고 “불 꺼”라고 하자 침실등이 꺼졌다. 음성을 알아듣고 전자기기 15종을 제어할 수 있는 AI 홈 비서 덕분에 가능한 일이었다. 현재 이 시스템은 3000개의 저장된 언어를 알아듣고 대답할 수 있을 뿐 다양한 질의에 곧장 응답을 할 정도로 지능화돼 있지는 않다. LG전자 등과 함께 AI 홈 비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음성제어 기능을 고도화하고 있어 하반기에는 한층 ‘똑똑한’ 모습으로 재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독자적으로 한국말을 알아듣는 AI 홈 비서 기기를 만들고 있다. 이 회사는 AI 홈 비서 기능의 근간이 되는 자연어 처리 음성인식 기술을 2011년부터 개발해오고 있다.
유회준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는 “스마트폰 세대에게 음성은 정보탐색의 편의를 더 높여줄 수 있는 유인이 된다”며 “국내 이통사, 가전사들이 이 같은 흐름을 인지하고 AI 홈 비서 기기 개발에 발 빠르게 나서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생필품 주문·택시 호출 등으로 생태계 확장
글로벌에서는 아마존이 2014년 11월 일찌감치 홈 비서 기기 ‘에코’를 선보이며 가장 발 빠르게 시장을 개척했다. 아마존은 가정 내 가전을 제어하는 데 그치지 않고 피자 주문, 우버 호출 등으로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에코는 현재 300만 대 이상 팔렸다. 구글은 에코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구글홈을 연내에 출시할 예정이며 애플은 애플TV에 음성인식 서비스 ‘시리’를 탑재한 뒤 이를 기반으로 가정 내 가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신무경 기자 fighter@donga.com